학술지 논문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 해군의 진해경비부 설치와 한반도 해역 작전 활동

  • 저자
    김윤미
  • 논문지명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게재연도
    2022, vol., no.110, pp. 203-243 (41 pages)

본문

이 글에서는 1941년 창설되어 한반도 해역을 담임했던 진해경비부의 조직과 역할을 고찰했다. 일본 해군이 처음 한반도에 군사기지를 건설한 것은 러일전쟁 시기였다. 거제도 송진포에 임시 해군기지를 건설한 후, 대규모 군주둔지를 물색했다. 진해를 군항으로 설정한 일본은 한반도 해역 방어를 임무로 하는 진해요항부를 설치하고, 진해경비부로 재편했다. 일본은 진해의 해군 조직을 유지하며 주둔의 성격과 영역을 공고히 할 필요가 있었다.
태평양전쟁 직전 진해요항부는 폐쇄하고, 1941년 11월 20일 진해경비부를 설치했다. 교통로 확보와 주요 항만 방어를 하며 쓰시마해협의 항로 확보와 블라디보스토크의 소련 해군 방어에 중점을 두었다. 해상통제를 목적으로 통상보호부를 설치하고, 진해해군항공대를 편성하여 선박호위도 시작했다. 그러나 1945년 4월에 들면서 남쪽 항로는 모두 닫혔고, 유일한 항로는 동해뿐이었다.
바다를 통한 일본 제국주의 팽창의 근간은 해군이었다. 해군에 대한 연구는 식민지 지배의 중요한 축을 담당했던 일본군 연구의 일부를 규명할 수 있다는 점, 조선인 강제동원 규명을 위해 일본 해군 연구는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점, 한반도에 남아있는 일본 해군기지의 현장을 파악하고 기록해두어야 한다는 점에서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한반도 해역을 경비했던 진해경비부의 활동은 현재까지도 곳곳에 흔적이 남아있다. 가장 대표적인 곳은 진해 군항이다. 진해는 한반도 주둔 일본 해군의 본부였고, 한국 해군이 주둔하고 있는 곳이다. 진해라는 지정학적 위치가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이다.

Copyrights (C) 2018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의 역동성 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