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지 논문

패전 직후 일본의 해항검역과 귀환

  • 저자
    최민경
  • 논문지명
    일본연구
  • 게재연도
    2021.03.

첨부파일

본문

이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그다지 주목받지 않았던 해항검역을 통해 패전 직후 귀환 국면에서 일본인의 경계가 새롭게 규정되어 가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제국의 붕괴와 함께 일본은 다민족제국에서 단일민족으로 구성되는 국민국가로 구성원의 경계에 급격한 변화를 겪을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변화는 귀환 과정에서 재외일본인의 포섭과 재일외국인의 배제라는 형태로 나타났는데 그 중심이 된 공간은 귀환항이었다. 분석 결과, 재외일본인의 귀환은 전염병, 그 중에서도 콜레라 유입에 대한 강한 경계심 아래에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들은 어디까지나 전후 일본의 구성원으로서 포섭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GHQ/SCAP과 일본정부는 많은 자원을 동원하여 일본 국내를 혼란시키지 않는 형태로 영토 내부에 들어오게 했다. 한편, 재일외국인에 대한 해항검역의 경우 당초 이들의 존재가 재외일본인의 귀환과정에 장애물이 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정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조선인을 중심으로 재도일이 증가하면서 콜레라 유입 차단이라는 '과학적 근거'에 힘입어 철저한 배제가 시작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귀환항을 중심으로 한 밀항자에 대한 해항검역은 애매모호한 상태였던 식민지 출신자의 법적지위를 일본인의 경계 외부에 위치케하는 과정의 시작이었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패전 직후 일본의 귀환항에서 이루어진 해항검역은 특히 제국에서 국민국가로의 재편이라는 구조적 변화 국면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검역이 지니는 정치성을 잘 살펴볼 수 있는 사례 중 하나라는 의미를 지닌다.

Copyrights (C) 2018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의 역동성 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