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자료실

Total 139건 5 페이지
    • 제 목
      중국의 여해적 정일수(鄭一嫂)와 해상권력의 구축
    • 저자
      김경아
    • 발행처
      중국인문학회
    • 발행년
      2022.4.30.
    19세기 남중국해는 해적들의 전성기였다. 1805년 6개 해적 방파는 협약 체결을 통해 연맹을 구축했고, 남중국해의 항로를 오가는 유럽의 상선과 관군을 상대로 약탈을 일삼았다. 6개 방파 중 가장 강력한 세력은 홍기방이었고, 홍기방의 두목은 연맹의 수장으로 막강한 해상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여해적 정일수가 해적 세계에서 어떻게 젠더와 성적 규범을 초월해 자율성을 얻었는지, 그리고 남성 중심으로 운영되던 해적 세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권력을 확보하고, 해적 두목으로서의 정체성과 지위를 굳건히 했는지에 주목했다 ‘정일의 아내’라는 의미를 가진 그녀의 이름처럼, 중국의 기록자료에서 그녀는 숨겨지거나, 혹은 남편들의 활약에 가려져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서양 문헌자료의 비교고찰을 통해 연구 주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오키나와 문제의 리저널리즘적 접근:‘미군기지’와‘집단자결’문제를 중심으로
    • 저자
      이상원
    • 발행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발행년
      2022.3.31.
    The study focused on the issue of U.S. military bases in Okinawa, Japan, and a number of issues surrounding “collective determination” amid many current issues in East Asia.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analysis centered on lepo-style references and papers, we learned that political and military issues in Okinawa have formed a historical strata intertwined with western powers in east Asian history, not on issues between one and two countries. In conducting these studies, “Regionalism”, presented as a research method, was inspired by a paper by Marukawa (2003). “Regionalism” is a concept that has been used primarily in modern political science, but Marukawa (2003) gave the concept a new meaning. In other words, it defines it as a “sense of history” that finds historically accumulated structural connections between countries and forces in the region based on “regional liquidity” beyond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state.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geographic space” and “cultural space” within the framework of “region” was considered a valid idea for explaining Okinawa and analyzing the problem in East Asia. In this paper, Based on these research methods, the issue of “U.S. military bases” and “collective determination” was examined in the regionalism view of Marukawa (2003) after the Ryukyu Administration,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as a period of four phases: 1. the change period of spatial awareness in Japan, 2.geographic distance sensor (geopolitics), 3.cultural distance sensor (cultural designation), and 4.cultural distance sensor adherence (cultural geography).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geographic space” and “cultural space” was introduced within the strata of history in East Asia and the framework of “region” to try to analyze the Okinawa problem. These attempts will give a new perspective on east Asia's history and political and military issues,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a new paradigm for east Asia's coexistence and peace building, which will expect to give many implications in the future.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한국전쟁 후 영도대교의 장소성과 점바치골목의 사회적 의미
    • 저자
      김경아
    • 발행처
      동북아문화연구
    • 발행년
      2022.3.3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origin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spotted village” under Yeongdo Bridge. When Yeongdo Bridge was first opened in 1934, it was the first drawing bridge in Korea and a landmark of Busan.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and Busan was selected as a temporary capital, numerous refugees fled to the city to avoid suffocation from the war. During this period, Yeongdo Bridge was more than just a bridge connecting islands and land; It had a clear geographic identity that reflected the socioeconomic situation at that time. Due to the unique location of Yeongdo Bridge, a “dotjaengi village” was created. There are four chapters in all in this document. Chapter 1 discussed prior studies and research methods. In the 1950s, there are few records of the commercial districts of fortune tellers or fortune tellers under Yeongdo Bridg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study read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ime and analyzing the meaning.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ociology. Chapter 2 looked at the evacuation of refugees to Busan and why they settled around Yeongdo Bridge. It also looked at how Yeongdo Bridge was linked to the life of refugees and what kind of place identity Yeongdo Bridge possessed. In order to approach the research topic, 19 popular songs that Yeongdo Bridge appeared in the lyrics were analyzed among popular songs in the 1950s and 1960s. The establishment of an astrological community beneath Yeongdo Bridge and its social importance a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final chapter is Chapter 4.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한국전쟁기 유엔군 군수사령부 편성과 부산항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발행년
      2022.3.30.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logistical role of the Munitions Command, which was established at the Port of Busan while securing Busan as a bridgehead.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war are strategy and logistics. South Korea could not go to war on its own. All logistics were supported by sea transport. In light of this, we will pay attention to three things in the Korean War. First, what role did the maritime logistics system play in the Korean War? The U.S. military, which commanded U.N. forces, unified the transport of the Army, Air Force and Navy, which had operated in individual systems since World War II, into one system and projected the United Sea Logistics Operations into the Korean War. Second, why did the U.S. and U.N. forces make the Port of Busan a bridgehead? Busan Port was a terminal connecting sea and land transport. Of course, there are road and route transports, but ships and railway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during the Korean War. This transport system became the main method during the Korean War based on the historical relationship of Busan Port and Busan Port and Busan Station connected to Japan's ports. Third, we noticed that busan port, which was in the logistics system of the modern Japanese “empire”, introduced a combined logistics system that united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Korean War. Even now, there is a military force in Busan Port, and the system that was esta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still exists. The three things noted in this article are that we look at the Korean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ceans, and we will also look at the skirmishes of the 21st century war to develop our maritime power. I was.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식민지 조선과 대만의 일본어 보급 실태 연구:총독부의 교육정책과 초등교육기관의 학제를 중심으로
    • 저자
      이상원,주현희
    • 발행처
      한국공공사회학회
    • 발행년
      2022.2.28.
    같은 시기에 일제강점기를 겪은 조선과 대만은 일제의 교육정책과 동화정책의 일환으로써 국어(일본어) 교육을 강요당했고 자국어를 말살 당한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초등교육기관의 증가에 비해 중등, 고등교육기관의 설립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이는 시세(時勢)와 민도(民度)에 맞춰 보통의 지식과 기능만을 습득시키기 위한 교육억제정책으로 국어(일본어) 보급에만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식민지 조선과 대만은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을 통해 서서히 황국신민으로 양성되어 갔다. 대만의 경우 조선보다 이미 15년 이전부터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받게 되었고 조선 역시 1910년 한일 병합을 통해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받게 되었다. 동시대이지만 역사와 사회적 상황이 서로 달랐기 때문에 일제의 통치 방법과 교육정책에도 차이가 있었다. 그러한 양국에 있어서 교육정책의 목적과 본질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총독부의 교육령과 제도권 교육기관의 학제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총독부의 교육정책과 그 일환으로 행해진 국어(일본어)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교육령을 중심으로 제도권 교육기관인초등교육기관의 학제를 비교‧고찰함으로써 일제가 식민지 조선 및 대만의 학령기 아동들에게 교육하고자 했던 정책을 비교·분석하여 국어(일본어)교육의 보급상황과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한국전쟁기피란민의 부산 정착과정과 정부정책 고찰
    • 저자
      공미희
    • 발행처
      韓國아시아學會
    • 발행년
      2022.2.28.
    본 연구는 한국전쟁 발발 후 부산으로 피란민들이 가장 먼저 유입된 시점부터 어떻게 해서 부산에 정착을 해나갔는지에 대한 과정을 정부정책과 연관 지어 전체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부산은 약 천일 동안 대한민국 정부의 피란수도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고, 피란민들이 부산으로 쇄도하자 정부는 부산으로의 인구집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避難民 分散에 關한 件」과 「피난민 소개 및 구호요강 송부의 건」이라는 정책을 공포했다. 그러나 정책공포 이후에도 피란민들의 부산집중 현상은 여전했고 1951년 당시 기준으로 부산의 인구는 전쟁 전보다 무려 37만여 명이 갑자기 증가한 85만 명 정도에 이르렀다. 이렇게 부산으로 몰려든 피란민들에게 정부는 1950년 8월 4일 「피난민수용에 관한 임시조치법」과 개정을 공포해 비상사태를 감안하여 임시로 피란민 수용구호를 추진하고 피란민 수용에 대한 공간적 범위가 귀속재산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주택, 여관, 요정 기타 건물에까지도 가능하도록 했다. 부산시도 피란민을 수용할 여유가 있는 가옥에 대해서 사회부 장관의 이름으로 입주명령서를 발부시켜 피란민을 수용하도록 하였고 또 마을 사람들에게 부탁을 해서 빈방 혹은 하다못해 마을 방앗간이나마 거처를 마련해 주도록 했다. 한편 부산에서는 이런 정부적인 정책만이 아닌 부산 원주민들의 개인적 차원에서도 자발적으로 피란민들을 위해 ‘방 하나 내어주기 운동’을 전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식량배급 면에 대해서도 부산시는 처음 피란민이 올 때는 주먹밥을 만들어 주었으나 1주일이 지나면서부터는 1인당 하루 양곡 3홉과 부식비 50원씩의 식량배급을 해주었다. 그리고 그 이후 구호금으로 구성된 유엔 한국 재건단(UNKRA)은 전쟁 시기 원조자금을 관리하며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피란민과 무주택자를 구호했고 유엔민사원조사령부(UNCACK)는 구호물자를 피란민에게 공급하였다. 그러나 주택은 물론이고 식량배급도 부족하여 수용소에 있었던 피란민들은 그나마 끼니가 다소 해결되었으나 대부분의 피란민들은 스스로 판잣집이나 움막 등을 짓고 생계를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에 국제시장이나 용두산 등에서는 판자촌들이 밀집해 있었고 또한 이 시기 부산에는 하루에 3~4건의 화재가 평균적으로 발생했다. 화재가 발생할 때마다 특히 판자촌은 하루아침에 다 무너졌다. 그러나 피란민들은 거기서 주저앉거나 삶을 포기하지 않았고 다시 회생하기 위해 손에 피땀 흘린 노력과 열정 희생들이 지금의 부산의 경제를 살리는데 아주 중요한 일군으로서 한몫을 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Analysis of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
    • 저자
      Mi-Hee Kong
    • 발행처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v10n1
    • 발행년
      202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Japan expanded its fishery bases in Joseon and colonized and ruled the coastal and offshore areas of Joseon and its fishery industry by analyzing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igrant fishing villages in Ulsan.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the private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ese people was formed during the colonial era. There were free-migration fishing villages, such as Sinam, Sejukpo, Ilsanjin, and Jeongja, where Japanese fishermen migrated and settled to make a living and earn personal incomes by catching fish, such as sardines, sole, and cero. In the case of Jeonhari, it was initially an aid-migration fishing village, which was formed as the Shimane Prefecture government offered aid grants to have fishermen migrate and later more Japanese fishermen migrated by their free will. Bangeojin was a migrant fishing village form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free migration and aid migration. The establishment of those migrant fishing villages was managed as part of Japan’s colonial policies as the Japanese government intended to colonize Joseon. The Japanese government aimed to obtain the fishery resources of Joseon, and there was also a strategic intention to have Japanese people migrate to geographically important spo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have a militarily competitive edge. It was also found that the fish caught in migrant fishing villages were carried to Japan to be used for military food procurement in times of war, as seen in Sinam, Sejukpo, and Bangeojin. The early process of the colonization of Joseon was confirmed through the Association of Japanese People formed in Bangeojin, which gave Japanese people the privilege to engage in commerce in Joseon and supported Japanese settlers, groups, and organizations that aided in the colonization of Joseon. Lastly, this study analyzed how private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ese people was formed during the colonial era.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Joseon and Japanese people at red-light districts, public baths, and schools. Conversely, the records about the Joseon person hired by a Japanese store owner and a Joseon person who gave considerations to Japanese people showed personal trust and friendly attitude between civilians bey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nizers and the colonized at a governmental level. Keywords Migrant fishing village in Ulsan, intrusion, marine products, fishery, colony, Private Exchange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5:34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ne Experience Fa…
    • 저자
      Minho Yang, Joonhwan Kim
    • 발행처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v9n2
    • 발행년
      2020
    This study used the experience satisfaction index from the PKNU Maritime Index to examine Koreans' preference for marine experience and use the findings as basic data for policymaking in the future. The PKNU Maritime Index of Koreans was 585.3 out of 1,000, and the experience satisfaction index was 63.6. By focusing on the experience satisfaction index,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KNU Maritime Index had changed dynamically. The analysi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sub-domains of the PKNU Maritime Index, the degree of experience satisfaction had continued to increas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dex. This paper further studie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the marine experience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index. Above all, this study's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policy alternatives related to marine experience in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PKNU Maritime Index, Experience Satisfaction Index, Marine Experience Factors, Regression Analysis
    • 제 목
      A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
    • 저자
      공미희
    • 발행처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v7n2
    • 발행년
      2018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e inven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Sukiyaki and Tonkatsu in Japan around the foreign settlements formed by the then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and promote a meat-eating culture and the opening of ports,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ukiyaki, well known as a typical fusion dish that combines Japanese traditional cuisine and Western culture, was born with the beef-eating culture that emerged with the cross-cultural exchanges with the West since the 17th-century Edo period. As a beef dish harmonizing Japanese traditional condiments and Western beef, it was first known as “Sukiyaki” in the Kansai region and as “gyu nabe” in the Kanto region, which use similar ingredients but differ in the cooking process and methods. Under the impact of the Kanto Earthquake in 1923, the two terms were integrated into “Sukiyaki,” which is the current name of this type of dish. Another Japanese-Western fusion dish, Tonkatsu, born from pork, the main ingredient of the dish, began to be supplied to the Japanese market as a cheaper substitute to beef that was then in short supply due to rising demand. Tonkatsu emerged as part of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to promote a meat-eating culture in order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The supply of pork as military food greatly influenced the spread of Tonkatsu, which came to have its present form during the era of Japanese imperialism. Keywords Cross-cultural exchange, Japanese meat, Meiji, Sukiyaki, Tonkatsu, and Food culture
    • 제 목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일본어 교육의 실태 -사회적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저자
      이상원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1.08.31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은 식민지 조선의 제도권 교육기관과 사회적 교육기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규제함으로써 식민지 지배를 위한 주요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민족주의계 사립학교와 종교계 사립학교를 규제하기 위해 1908년에 시행된 ‘사립학교령’과 한일합방 이후 1911년부터 해방까지 식민지 조선의 교육정책에 근간이 된 ‘조선교육령’은 38년간 조선의 학령기 아동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강제된 교육의 형태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여러 번에 걸친 조선교육령 개정을 통해 식민지 조선은 점진적으로 동화정책의 늪에 빠져들기 시작한다. 한일합방 이전 을사늑약 체결단계에서부터 한국의 민족운동적 성격을 가진 사립학교 건립운동은 일제에게 큰 위협요소였다. 당시 1908년경 전국 각처에 사립학교는 4,000개~5,000개에 이르렀고, 일제의 통감부는 1908년 ‘사립학교령’을 공포하고 사립학교에 대한 탄압을 본격화 한다. 이후 조선에서의 전반적 교육정책의 근간이 되었던 ‘조선교육령’의 시행에 따라 당시 제도권 교육기관만이 아닌 사회적 교육기관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1차 조선교육령기는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에 대응하는 정책으로 정규 교육기관 이외의 보조적 기능의 기관으로 ‘학술강습회’와 ‘야학’의 역할도 하면서, 일본어교육기관으로 변질되어 간다. 제2차 조선교육령기에는 전국적으로 ‘학술강습회’와 ‘야학’의 확산시기이기도 하지만 일제의 문화통치기에 접어들면서 일본어 외에 조선어, 산술, 한문 등의 수업이 늘어나며 일본어 교육의 침체기에 들어서는 시기이다. 제3차 조선교육령기는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을 통해 일본어 교육의 반감과 고조된 반일 감정과는 달리 달아오른 교육열과 함께 피교육자 상당수가 일본어교육에 매달린 시기이기도 하다.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일본어는 입신양명을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이 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교육정책의 근간이 되었던 조선교육령 공포 시기를 기준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일본어 교육이 이루어 졌으며 지역 별 해득 수준과 규모는 어느 정도였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일본어 교육의 보급시기, 정체시기, 확장시기로 나누어 통시적 관점에서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고려하여 ‘조선총독부관보’와 ‘신문자료’등의 사료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제 목
      三婆神, 媽祖, Joss: 19세기 남중국해 해적과 해양 신앙
    • 저자
      김경아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1.05.31.
    19세기 남중국해는 유럽의 상선들로 북적였고, 해상 무역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해적들의 규모도 점차 커져갔다. 해적은 정부의 권력이 미치지 않는 바다를 떠돌아다니면서 어선과 상선을 약탈하는 범죄자 집단이었다. 혈연, 지연, 학연처럼 공동체의 구성원을 하나로 묶을 연결고리가 느슨한 상태에서, 이들 집단에게 해적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하고,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과 연대감을 느끼게 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해적 세계에서 숭배했던 종교가 무엇이고, 그것이 가진 역할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 종류의 문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첫째는 1830년에 출판된 『靖海氛記』인데, 이는 작가 원영륜이 남중국해 해적연맹의 흥망성쇠를 기록한 책이다. 둘째는 개신교 선교사 귀츨라프의 중국 항해기록이다. 해적에 관한 기록은 아니지만, 중국 남부와 동부 바다를 항해하면서 직접 목격한 중국 어선과 그들의 신앙에 대해 기록해 놓았으므로, 해적의 해양신앙을 분석하는데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셋째는 19세기 초중반 해적들에게 납치되었던 외국인들의 회고록이다. 이들은 납치기간 동안 해적들과 해적선에서 함께 생활했기에, 이들의 회고록 속에는 비록 단편적이긴 하지만, 중국의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해적들의 문화와 종교 제의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해적은 당시 사회의 최하층민이면서 범죄자집단이었기에, 그들 스스로 자신들에 관한 기록을 남길 이유도, 그럴 필요성도 느끼지 못했다. 현재 해적연구의 많은 부분이 공백으로 남아있는 이유는 바로 그들에 관한 문자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해분기』와 선교사 귀츨라프, 납치되었던 외국인(글래스풀, 패니 로이오트)의 기록 등을 통해 19세기 해적들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종교 제의를 지냈는지를 재현하고, 해적 세계에서 종교의 역할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 제 목
      해방 이후 상해를 통해 한국으로 돌아온 한인
    • 저자
      이가영
    • 발행처
      중국인문학회
    • 발행년
      2021.04.30.
    해방 이후, 동아시아 지역의 인구 재편이 진행되면서, 중국 국민정부는 집중수용 집단귀환의 정책 하에 상해항을 한인 귀환의 주요 통로로 지정한다. 상해 지역 한인의 귀환은 그 규모와 귀환정책 등에 따라 크게 ‘귀환준비단계’, ‘집단귀환단계’, ‘개별귀환단계’로 나뉜다. 귀환준비단계에는 임정요인 29인의 귀환이 이루어졌으며, 집단귀환단계에는 1,500~5,000명의 규모로 10여 차례 귀환이 이루어진다. 이후 개별귀환단계에는 100~500명의 규모로 대폭 축소된다. 한국 언론은 이와 관련하여, 항로, 선박명, 출발일자와 도착일자, 탑승인원 및 주요 인물 등 다양한 사실을 한국에 알렸음은 물론, 상해에서의 한인들의 곤궁한 삶과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 겪게 되는 어려움 등을 이슈화한다. 또한 인구의 이동에 따라 한국에 전파된 전염병(호열자)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보도한다. 이 같은 한국 언론의 기사는 현재 발굴된 사료만으로는 밝히기 어려운 상해지역 한인의 귀환의 전체 모습을 보다 선명하게 그릴 수 있는 단초가 된다.
    • 제 목
      해방 직후 일본군의 귀환 수송과 부산항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역사실학회
    • 발행년
      2021.04.30.
    제국주의 국가들은 전쟁을 통해서 팽창해 갔고, 제국민과 식민지민들은 확장되는 제국 영토 내에서 빈번한 이동을 했다. 일본도 동아시아에서 세력권을 구축하며 반세기에 걸친 다방향의 이동을 주도했다. 이러한 흐름은 1945년 일본 제국이 붕괴되면서 대전환을 맞았다. 장기간에 걸쳐 일어났던 인구이동은 한순간에 대규모 집단이동의 형태로 바뀌었다. 이것은 인구의 재배치이기도 했다. 대이동이 시작되는 1945년 부산은 경계지가 되었다. 일본 제국 속에서 부산항은 관문의 역할을 했지만, 일본 제국이 붕괴 된 이후 미군정 체제 속의 부산은 조선과 일본의 국경이었다. 이 글에서는 조선 남부에 주둔했던 일본군 귀환의 전반을 정리하고, 부산항을 통한 일본군 귀환을 재조명해보려고 한다. ‘안정적인 귀환’을 주도하고자 했던 일본측의 계획은 일정부분 미군이 수용했지만, 조선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귀환한다는 방침은 허용되지 않았다. 일본군을 가장 먼저 수송한다는 미군의 방침에 따라 대규모 군사이동이 시작되었다. 미군은 일본군을 사단 단위, 혹은 대규모로 이동시키지 않았다. 통제 가능한 수준의 소규모 집단으로 나누었다. 조선 남부에 주둔한 미군은 가장 먼저 일본군 무장해제와 철수를 실시했다. 일본군을 철수시키는 것은 미군정의 행정업무가 아니라 미군의 첫 번째 군사작전이었다.
    • 제 목
      1945년 해방공간에서 교차하는 미군과 일본군의 귀환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부경역사연구소
    • 발행년
      2021.04.30.
    이 글은 근대 동북아 지역의 물리적 주체였던 일본군과 현대 동북아의 물리적 주체로 등장한 미군이 해방공간에서 교차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1945년 일본군과 미군의 이동은 일본 ‘제국’이 붕괴하고 국민국가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미국 주도의 현대적 시작을 의미했다. 남한에 진주한 미군은 가장 먼저 일본군 무장해제와 철수를 실시했다. 일본군을 철수시키는 것은 미군정의 행정업무가 아니라 미군의 첫 번째 군사작전이었다. 이것은 남한이 ‘해방지역’이 아니라 ‘점령지역’으로 미군이 직접통치하는 작전구역이었기 때문이다. 미군이 주둔하면서 점령한 지역은 일본군의 군사적 거점지역이었다. 미군은 일본군의 무장해제와 귀환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일본군의 전략 지점에 병력을 배치했다. 미군은 일본군의 군사시설과 병력을 장악하여 한반도를 군사점령하기 위한 거점으로 서울지구, 부산지구, 군산지구를 선정했다. 일본군과 미군의 교차지점 중 유동성이 가장 큰 해방공간은 부산이었다. 부산항은 대다수의 일본인과 일본군이 이동하고, 조선인들이 귀환하였으며, 귀환을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해 많은 수의 미군도 주둔했다. 부산은 미군과 일본군이 동시에 주둔하는 공간이자, 조선인과 일본인들의 귀환항으로 역사적 전개를 맞이했다.
    • 제 목
      해양문화 산업의 변화 방향에 관한 연구-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저자
      양민호
    • 발행처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발행년
      2021.04.30.
    최근 정치・사회・경제 활동이 비대면화 및 온라인화로 대변되는 디지털 경제로 빠르게 변해가고 있다. 이처럼 체험활동의 온라인 전환이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언택트 체험이 새로운 트렌드로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체험’을 바탕으로 해양관광산업에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접목시켜 과거의 단순히 지식이나 스토리를 전달하는 해양관광 체험 서비스 방식에서 벗어나 해양관광 콘텐츠가 더 활성화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실감나고 체계적인 해양서비스 체험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체험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해양체험산업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변화와 참여증진의 기반을 토대로 하여 지속적으로 수요를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 일본의 경우에는 선제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가상현실 해양문화 체험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 주도라기보다는 지자체와 산업 연계를 통한 민관(民官) 협력을 이끌어낸 여러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본 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향후 체계적인 해양문화 정책을 세우기 위한 노력으로 일본의 해양문화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디지털 체험을 기반으로 해양문화 산업에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Copyrights (C) 2018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의 역동성 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