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자료실

Total 178건 8 페이지
    • 제 목
      근대 시기 재일한인의 부두노동에 관한 연구―기타규슈항을 중심으로―
    • 저자
      최민경
    • 발행처
      일본연구소
    • 발행년
      2020.05.31.
    기타규슈지역은 20세기 초반부터 본격화된 한반도로부터 일본으로의 인구이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이 지역은 도쿄나 오사카와 비교했을 때 시모노세키항과 인접한다는 강점을 지녔다. 즉, 부관연락선을 타고 일본에 건너와 시모노세키항에 내린 한인이 더이상의 경비를 들이지 않고 일자리를 얻을 수 있는 지역이던 것이다. 기타규슈지역에 유입한 재일한인은 이 지역의 기간산업인 광업과 관련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나카시, 오늘날의 부두노동도 그 중 하나였다. 기타규슈항은 근대 이후 국내외로의 석탄 수송 거점으로서 크게 성장하는 가운데 석탄을 중심으로 각종 화물의 선, 하적을 담당하는 나카시의 수요도 급증하였다. 그리고 바로 재일한인이 이 수요를 채우게 된 것이다. 재일한인 나카시는 노동강도가 센 석탄의 선, 하적 작업을 해상에서 하는 경우가 많았고, 당시 나카시 노동력 운용을 위한 구미제도로부터는 일탈하여 존재하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의식주를 보장받지 못하기도 했다. 이들의 임금은 일본인 나카시는 물론 재일한인 광부나 공장노동자에 비해서도 매우 적었으며, 상대적으로 불안정하고 궁핍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고찰은 근대시기 재일한인의 노동세계를 분석한 기존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 및 업종의 다양성을 높인다는 의미를 지닌다.
    • 제 목
      동북아해역의 먹거리지수 수준과 소비자 인식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저자
      양민호 / 김준환
    • 발행처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발행년
      2020.04.30.
    본 연구는 수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부경해양지수의 하위영역인 먹거리 지수 수준간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 소비자들의 수산물 음식에 대한 평가로 맛, 영양, 다양성과 가격 및 안전관련 제도와 먹거리 지수와의 관계를 검증하였고, 성별, 직업 관련성, 나이 등으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의 수산물에 대한 인식은 먹거리 지수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먹거리지수는 영양, 맛, 가격 순서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비자의 수산물 인식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며, 동북아해역의 중심으로 먹거리지수를 활용하여 소비자가 경험할 수 있는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제 목
      동북아 해역인문학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인식조사 연구-'해양문화지수'를 중심으로-
    • 저자
      양민호 / 최민경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0.02.29.
    본 연구는 기존의 역사학적 관점과 인류학적 관점의 접근 방식이 아니다. ‘해양문화 지수’라는 프레임을 가지고 사회언어학적 방법으로 해역 연구에 활용하는 시도를 하였 다. 올해는 ‘해양문화지수’의 3번째 조사이다.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에서는 연 구 주제에 맞추어 부경해양지수(PKNU Maritime Index) 항목을 보완하고 개발하였다. 그 결과 2019년 부경해양지수 점수는 585.3점이었다. 한국인의 바다에 관한 인식인 부경 해양지수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았다. ‘친숙지수’가 64.1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육지 수’가 46.1점으로 제일 낮았다. 한편 2019년 조사에 처음으로 포함시킨 ‘동북아해역지 수’는 51.1점으로 평균에 살짝 미치지 못하였다. 이 ‘동북아해역지수’를 사회언어학적 속성에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별, 지역별, 그리고 바다관련 종사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기존의 인문학 연구처럼 역사적 문 헌 연구와 현장 조사를 통한 실태연구에만 그치지 않고, 4차 산업 시대가 도래한 지금, 이 조사는 국민들의 바다 인식, 우리는 바다를 통한 인문학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에 대한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
    • 제 목
      근대 동북아해역 교통망과 지식네트워크-청말(淸末)중국유학생과 그 잡지를 중심으로-
    • 저자
      서광덕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0.02.29.
    근대 이후 동북아해역에서는 인적 물적 이동이 대규모로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대이동은 근대 이전의 동북아지역의 질서를 해역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질서로 만들었 다. 그리고 이것은 유럽이라고 하는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한 세계질서 하에 편입되는 그 런 지역 질서였다. 이것을 가능케 한 것이 바로 근대적인 교통망의 형성이다. 과학기술과 근대산업이 만들어낸 이 이동의 토대인 교통망은 동북아해역에서도 유럽과 마찬가지로 지역간 인적 이동을 광범위하게 추동했다. 특히 인적 이동의 한 가지 유형인 유학은 이러 한 교통망의 바탕위에서 동아시아 지역내 지식과 지식인의 네트워크를 형성했는데, 이 글에서는 20세기초 일본 도쿄를 중심으로 한 지식네트워크를 동북아해역의 교통망과 연결시켜 탐구하였다. 19세기말 동아시아 지역에서 국제무역을 폭넓게 추동하려 했던 서구 열강들은, 러시아와 영국을 대표주자로 곧 각각 대륙과 해양 세력을 대변하면서 그 리고 그 지역의 대표적인 교통수단인 철로와 항로의 건설을 목표로 설정한 두 국가의 주 도하에 교통망 건설을 진행하였다. 여기에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가세하여 영국 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근대 해양국가가 동북아해역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경제적 이익과 군사적 이익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된 근대적인 교통망 위에 청과 조선의 지식인 들은 신문물을 수용하기 위해 그 항로와 철로를 타고 유럽과 일본으로 달려갔다. 특히 20 세기초 10년간 일본 도쿄에서의 유학러쉬는 유학생을 중심으로 해서 동아시아라는 지 역인식을 갖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연대 또는 아시아주의를 표방하는 분위기를 낳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도쿄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각 지역에서 온 유학생을 비롯한 지식인간의 교류 즉 지식네트워크에 의해 가능했고, 구체적으로 그 네트워크는 결사와 출판이라는 형태로 드러났다.
    • 제 목
      개항기 제 1차 수신사의 신문물 접촉양상과 근대화와의 관계 분석
    • 저자
      공미희
    • 발행처
      한국아시아학회
    • 발행년
      2020.02.28.
    본고는 개항 후 제 1차 수신사로 파견된 김기수의 견문활동 보고서인 『日東記游』를 중심으로 김기수가 신문물을 접촉했을 때의 양상에 대해 4가지로 분류해 그것이 조선 근대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분석했다. 일본은 수신사행을 맞이해 가능한 많은 문물을 볼 수 있도록 하여 근대화정책에 대한 성공을 인식시키고 자 했다. 당시 수신사의 입장에서는 , 일본에 파견된 목적이 양국 간의 국교를 수호하는 것이기에 일본의 요구 및 의도대로 다 따라만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견문에 있어서 일본인들의 요청에 마지못해 응하는 태도와 경제적, 군사적으로 중점적인 역할을 수행했던 조선소 견학포기 등은 먼저, 수신사의 역할과 임무면에서 아주 소극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것은 조선의 근대화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되었다. 두 번째로 김기수는 화륜선, 화륜차, 전신기, 가스등과 같은 근대문물을 직접 체험해 편리함을 느꼈음에도 불구하고, 근대화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서양의 과학기술에 대해 인식 및 지식이 부족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조선에 도입해 근대화에 활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세 번째로 조선을 지킬 수 있는 부국강병과 근대화를 이루고자 하는 인식부족으로 일본국정 탐문에 허점이 드러났고 이것은 이후 일본의 조선침략에 대한 저의를 파악하지 못했다는 부정적인 평가의 한 단면을 나타냈다. 네 번째로는 조선에서 시행되던 주자학 및 명나라 의복에 대한 제도가 시대의 변화에 방해가 된다는 것에 대한 인식부족이다. 즉, 어떤 제도나 사상을 도입할 경우에는 그 장단점을 구분하여 그 나라에 적합하게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인지했어야 했었다. 이처럼, 수신사의 임무 수행과정에서 김기수는 일본으로부터 다양한 신문물의 견학 및 도입을 권유받았으며 러시아 및 서양세력에 공동대응을 위한 아시아 연대론의 제안도 받았다. 김기수가 비록 그 당시 조선내부의 상황 및 수신의 입장에서 견문을 했다할지라도 , 일본이 어떤 전략에서 그런 권유를 하였는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었고 또한 , 어떻게 대응을 할지 고민이 필요했었다. 그리고 우선 조선이 스스로를 지킬 수 없는 지경에 빠져 있었음을 인식하고 조선의 부국강병 및 근대화를 위하여 어떻게 하면 서양의 과학기술 및 근대문물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것인지 등에 대해서도 수신사로서 현명한 처신이 필요했다.
    • 제 목
      동북아 해역인문학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인식조사 연구: '해양문화지수'를 중심으로
    • 저자
      양민호/최민경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0.02.28.
    본 연구는 기존의 역사학적 관점과 인류학적 관점의 접근 방식이 아니다. ‘해양문화 지수’라는 프레임을 가지고 사회언어학적 방법으로 해역 연구에 활용하는 시도를 하였 다. 올해는 ‘해양문화지수’의 3번째 조사이다. 인문한국플러스(HK+) 사업단에서는 연 구 주제에 맞추어 부경해양지수(PKNU Maritime Index) 항목을 보완하고 개발하였다. 그 결과 2019년 부경해양지수 점수는 585.3점이었다. 한국인의 바다에 관한 인식인 부경 해양지수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았다. ‘친숙지수’가 64.1점으로 가장 높았고, ‘교육지 수’가 46.1점으로 제일 낮았다. 한편 2019년 조사에 처음으로 포함시킨 ‘동북아해역지 수’는 51.1점으로 평균에 살짝 미치지 못하였다. 이 ‘동북아해역지수’를 사회언어학적 속성에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별, 지역별, 그리고 바다관련 종사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기존의 인문학 연구처럼 역사적 문 헌 연구와 현장 조사를 통한 실태연구에만 그치지 않고, 4차 산업 시대가 도래한 지금, 이 조사는 국민들의 바다 인식, 우리는 바다를 통한 인문학을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에 대한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
    • 제 목
      An Empiric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cultural Netwo…
    • 저자
      공미희/김하균
    • 발행처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 발행년
      2020.02.15.
    Dejima and Choryang Waegwan are resident areas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to accommodate the Dutch and Japanese traders respectively who came for commercial trade activities. This was established to prevent the local citizens to communicate with the foreigners. Dejima and Choryang Waegwan have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their purpose of establishment, which reflects the way of life and intercultural exchange of the foreigners. This is an empirical study that investigates the trade operations and way of life of the foreigners in the settlement areas on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cross-cultural network.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e operations and way of life in the settlement areas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schools, the expansion of surrounding facilities, and the spread of western studies. We also empirically analyzed the perception of each factor by setting up a model related to how it affected the foundation of modernization of both countr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dopted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described above. The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settlement areas and the spread of western stud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Dejima and Choryang Waegwan. Second, settlement areas and school establish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Dejima and Choryang Waegwan. Third, settlement areas and expansion of surrounding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Fourth, the dissemination of western studies and foundation of moderniz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in Dejima but not in Choryang Waegwan. Fifth, school establishment and the foundation of moderniz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in Dejima and Choryang Waegwan. Sixth, the expansion of the surrounding facilities and foundation of moderniz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in Dejima and Choryang Waegwan.
    • 제 목
      일본의 한반도 군용 해저통신망 구축과 ‘제국’ 네트워크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숭실사학회
    • 발행년
      2019.12.31.
    근대 통신망과 교통망은 제국주의 확장을 가능하게 했던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였다. 육상전선과 해저전선은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고, 항로와 철도는 사람과 물자를 대규모로 이동시켰다. 이 두 연결망은 제국이 식민지를 통치하는 핵심적인 도구였으며, 공간의 한계를 넘어 제국의 네트워크를 만들었다. 이 글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본이 한반도 해역에 해저전선을 부설하고, 통신을 장악해가는 과정과 현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시기는 개항부터 해저통신망 구축이 일단락되는 러일전쟁시기까지로 했다. 일본의 조선 침략에 대한 연구는 정치외교적 측면에서, 경제적 측면에서,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 속에서 통신망이라는 또 하나의 스펙트럼을 통해 일본의 군사적 침략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일본은 조선 개항 이후 영국과 러시아 등 통신강국의 영향을 벗어나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려고 했다. 일본은 대륙을 연결하는 해저통신망을 조선 해역을 거점으로 구축하고, 일본을 중심으로 한 제국의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팽창을 도모했다. 그 계기는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이었다. 청일전쟁을 계기로 일본은 일본과 대만간 해저전선을 부설했고, 러일전쟁을 계기로 일본과 대륙을 잇는 해저전선을 부설했다. 일본은 청일전쟁 시기에 육상통신망 구축에 전력했다면, 러일전쟁 시기에는 그 동안 조선정부에서 거부했던 해저통신망 구축에 힘을 쏟았다. 동북아 해역의 일본군용 해저통신망은 전쟁이 끝난 후에는 체신성 등의 민간에 이관되었고, 일본이 제국주의를 확대하는데 기반이 되었다.
    • 제 목
      1930년대 나진 개항과 항만도시 건설의 군사적 전개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19.11.30.
    이글은 1935년 나진 개항의 배경, 나진항을 중계지로 한 만주-조선-일본의 교통망 구축 과정과 목적을 살펴보고자 했다. 근대 일본과 만주를 잇는 북선루트는 청진, 나진, 웅기 3항을 근간으로 했다. 북선3항의 항만 물류네트워크 능력 강화와 대륙의 통합적 철도망 구축은 경제성 뿐아니라 군사전략적 결정이었다. 1932년 일본군의 영향력으로 만주 동북지역과 일본을 잇는 철도의 종단항으로 나진이 결정되었다. 나진항은 군사수송, 만주이민 수송, 만주 자원과 일본 상품의 수송 기지가 되었다. 조선총독부는 1948년까지 연간 900만톤의 하역능력을 가진 항만건설을 계획했다. 동시에 일본군은 나진과 웅기를 군사지역인 요새지대로 설정하고, 나진항을 방어하기 위해 1935년 나진요새사령부를 신설하여 포대구축을 시작했다. 소련의 극동 군비 증강에 맞춰 1933년 관동군도 만주동북부 국경지역을 중심으로 병력을 증강하고, 진지구축을 시행했다. 이러한 과정으로 1930년대 환동해 교통망은 군사적 요인에 의해 작동되고, 강화되었다.
    • 제 목
      근대 日本製新漢字語 유입을 통한 동북아해역의 지식교류 연구
    • 저자
      공미희
    • 발행처
      대한일어일문학회
    • 발행년
      2019.11.30.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modern Japanese language based on Kim Ki-su’s ‘日東記游,’ a checklist that was reported by the first diplomatic mission to Japan after its opening. As an analysis method, we first extracted Japanese characters for a total of four “日東記游” books composed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excerpts of Chinese characters, we analyzed the Japanese-made Shinhan language, which contains only examples since modern tim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first volume (62), the second volume (60), the third volume (62), and the fourth volume (25) are included. However, the Japanese dictionary should not be used only as a basis for judgment, so it was necessary to check if the same term was used from the former Joseon Dynasty or earlier; we thus conducted another cross-review using the Korean classical DB. As a result, the results included the books 1 (26), 2 (17), 3 (13), and 4 (4). As such, it is believed that the Chinese characters used in the Japanese dictionary are likely to be Chinese characters used by Korea, China and Japan, and that the words recorded in the Chinese classics may be in Japanese dictionaries, and further detailed analysis is needed. And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Japanese-made words recorded in ‘日東記游’ confirms that Japanese-made Shinhan words related to modernization are recorded. Through this lexicon contact, Kim Ki-su was able to learn from the Japanese the culture of Japan and its modern civilization in the field of visitors.
    • 제 목
      규슈지역 재일한인 커뮤니티의 형성과 전개: 후쿠오카를 중심으로
    • 저자
      최민경 / 양민호
    • 발행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발행년
      2019.09.30.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 exploratory attempt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life of Zainichi(Koreans in Japan) beyond the framework of modern nation-states by paying attention to a new region, specifically Fukuoka in Kyushu. Researches on Zainichi focused on the region emerged with the recognition of limitations that their detailed lives could not be understand if we just analyzed the motherland and the host country. However, there is another limitation that only certain areas, including Osaka and Kawasaki, have been studied so far.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area of Fukuoka, which was previously unnoticed, bu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Zainichi, and looked at how their communities have been formed and developed. As a large city adjacent to Shimonoseki where was the starting and arrival place of the Bugwan Liner, Fukuoka provided jobs and became a place of life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influx of the Zainichi into Japan. In the modern times Fukuoka's Zainichi community largerly depended on the mining, which is the local backbone industry. Meanwhile,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Fukuoka went through a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a characteristic community in another sense. As the transportation network linking the Korea Strait was restored around Fukuoka, the region entangled the return to the Korean Peninsula and stays in Japan. As a result, Zainichi formed a self-sustaining residential area downstream of the river that flows into the port. Afterward this area became a city problem in Fukuoka an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Zainichi began to live in a special space called the ‘Danchi’ and formed their community. Throughout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Fukuoka served as the nodule point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and as the center of population movement.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clearly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and continuing to study the Zainichi community in Fukuoka area in the future is significant in expanding and deepening the content of Zainichi study.
    • 제 목
      한국과 일본의 출세어 명칭에 관한 대조연구
    • 저자
      양민호
    • 발행처
      한국일본어학회
    • 발행년
      2019.09.30.
    This paper analyzed the names of Chul-se-eo i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 geographically. "Chul-se-eo" means a fish that is called by different names at different stages of growth. How the chul-se-eo name is classified and distributed in Korea and Jap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various dialects in the name of Chul-se-eo. The name of Chul-se-eo depends on the seasonal migration route or sea region. The mullet has a highly developed language variant on the west sea of Korea. From the narrow view of yellowtail fis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name of yellowtail fish and the food culture of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Toyama, Japan, and the coastal and inland areas of Japan. Yellowtail fish is a very simple name for yellowtail fish the West Sea of Korea, which is not part of the seasonal migration route. South Korea's East sea, and South sea, Jeju sea in various different names appeared. Habitat is not East Sea and a saltwater fish, mullet and bass, not Japanese language of expression in the case of A case in point is less contact. The paper found out about fishing village culture and vocabulary acceptance in Korea and Japan.
    • 제 목
      규슈지역 재일한인 커뮤니티의 형성과 전개:후쿠오카를 중심으로
    • 저자
      최민경/양민호
    • 발행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발행년
      2019.09.30.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n exploratory attempt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life of Zainichi(Koreans in Japan) beyond the framework of modern nation-states by paying attention to a new region, specifically Fukuoka in Kyushu. Researches on Zainichi focused on the region emerged with the recognition of limitations that their detailed lives could not be understand if we just analyzed the motherland and the host country. However, there is another limitation that only certain areas, including Osaka and Kawasaki, have been studied so far.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area of Fukuoka, which was previously unnoticed, but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Zainichi, and looked at how their communities have been formed and developed. As a large city adjacent to Shimonoseki where was the starting and arrival place of the Bugwan Liner, Fukuoka provided jobs and became a place of life from the early stages of the influx of the Zainichi into Japan. In the modern times Fukuoka's Zainichi community largerly depended on the mining, which is the local backbone industry. Meanwhile, after Japan's defeat in World War II, Fukuoka went through a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a characteristic community in another sense. As the transportation network linking the Korea Strait was restored around Fukuoka, the region entangled the return to the Korean Peninsula and stays in Japan. As a result, Zainichi formed a self-sustaining residential area downstream of the river that flows into the port. Afterward this area became a city problem in Fukuoka an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Zainichi began to live in a special space called the ‘Danchi’ and formed their community. Throughout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Fukuoka served as the nodule point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and as the center of population movement.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clearly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and continuing to study the Zainichi community in Fukuoka area in the future is significant in expanding and deepening the content of Zainichi study.
    • 제 목
      언어전파로 살펴본 해역언어학적 어휘 연구-한국의 박래어와 일본 진출 외행어를 중심으로-
    • 저자
      양민호
    • 발행처
      한국일어일문학회
    • 발행년
      2019.08.31.
    In this paper, several vocabulary words used through exchanges are described in Korea and Japan. The foundation culture was understood in terms of language exchange and propagation. The vocabulary pattern mentioned here corresponds mainly to the adjoining propagation principle of linguistic geography. It cites as an example a vocabulary that has spread between Busan and Kyushu, among others, the closest Korea and Japan through geographical proximity effects. It was introduced by moving around the ocean. It was probably the shortest section that was spread and settled frequently. Many examples have not been given in this paper. However,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help them understand the language-based culture of Northeast Asia by expanding the region and increasing their vocabulary.
    • 제 목
      수산물 명칭 속에 나타난 잔존일본어에 관한 연구
    • 저자
      양민호
    • 발행처
      한국일본문화학회
    • 발행년
      2019.08.31.
    This paper analyzes the trace amounts of Japanese language that remain in the names of Korean fishing products.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people living in a Korean fishing village, were analyzed using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s Everyday Korean Language Project Group. Japanese remained diverse in the names of fish products. The implic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nd Japanese expressions (used in fishing products) that are well known by fishermen, who form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fishing culture, but are not understood by the average Korean. -Analyze these examples to identify how these terms and expressions came to be standard within this industry, considering the regional and cultural connec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remaining Japanese languages used in the fishing villages have enabled a new field of study, called “sea region linguistics.” The results of the survey data reveal regional limitations; therefore, similar research is necessary in the future.

Copyrights (C) 2018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의 역동성 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