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자료실

Total 178건 7 페이지
    • 제 목
      해방 이후 상해를 통해 한국으로 돌아온 한인
    • 저자
      이가영
    • 발행처
      중국인문학회
    • 발행년
      2021.04.30.
    해방 이후, 동아시아 지역의 인구 재편이 진행되면서, 중국 국민정부는 집중수용 집단귀환의 정책 하에 상해항을 한인 귀환의 주요 통로로 지정한다. 상해 지역 한인의 귀환은 그 규모와 귀환정책 등에 따라 크게 ‘귀환준비단계’, ‘집단귀환단계’, ‘개별귀환단계’로 나뉜다. 귀환준비단계에는 임정요인 29인의 귀환이 이루어졌으며, 집단귀환단계에는 1,500~5,000명의 규모로 10여 차례 귀환이 이루어진다. 이후 개별귀환단계에는 100~500명의 규모로 대폭 축소된다. 한국 언론은 이와 관련하여, 항로, 선박명, 출발일자와 도착일자, 탑승인원 및 주요 인물 등 다양한 사실을 한국에 알렸음은 물론, 상해에서의 한인들의 곤궁한 삶과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 겪게 되는 어려움 등을 이슈화한다. 또한 인구의 이동에 따라 한국에 전파된 전염병(호열자)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보도한다. 이 같은 한국 언론의 기사는 현재 발굴된 사료만으로는 밝히기 어려운 상해지역 한인의 귀환의 전체 모습을 보다 선명하게 그릴 수 있는 단초가 된다.
    • 제 목
      해방 직후 일본군의 귀환 수송과 부산항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역사실학회
    • 발행년
      2021.04.30.
    제국주의 국가들은 전쟁을 통해서 팽창해 갔고, 제국민과 식민지민들은 확장되는 제국 영토 내에서 빈번한 이동을 했다. 일본도 동아시아에서 세력권을 구축하며 반세기에 걸친 다방향의 이동을 주도했다. 이러한 흐름은 1945년 일본 제국이 붕괴되면서 대전환을 맞았다. 장기간에 걸쳐 일어났던 인구이동은 한순간에 대규모 집단이동의 형태로 바뀌었다. 이것은 인구의 재배치이기도 했다. 대이동이 시작되는 1945년 부산은 경계지가 되었다. 일본 제국 속에서 부산항은 관문의 역할을 했지만, 일본 제국이 붕괴 된 이후 미군정 체제 속의 부산은 조선과 일본의 국경이었다. 이 글에서는 조선 남부에 주둔했던 일본군 귀환의 전반을 정리하고, 부산항을 통한 일본군 귀환을 재조명해보려고 한다. ‘안정적인 귀환’을 주도하고자 했던 일본측의 계획은 일정부분 미군이 수용했지만, 조선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귀환한다는 방침은 허용되지 않았다. 일본군을 가장 먼저 수송한다는 미군의 방침에 따라 대규모 군사이동이 시작되었다. 미군은 일본군을 사단 단위, 혹은 대규모로 이동시키지 않았다. 통제 가능한 수준의 소규모 집단으로 나누었다. 조선 남부에 주둔한 미군은 가장 먼저 일본군 무장해제와 철수를 실시했다. 일본군을 철수시키는 것은 미군정의 행정업무가 아니라 미군의 첫 번째 군사작전이었다.
    • 제 목
      1945년 해방공간에서 교차하는 미군과 일본군의 귀환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부경역사연구소
    • 발행년
      2021.04.30.
    이 글은 근대 동북아 지역의 물리적 주체였던 일본군과 현대 동북아의 물리적 주체로 등장한 미군이 해방공간에서 교차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1945년 일본군과 미군의 이동은 일본 ‘제국’이 붕괴하고 국민국가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미국 주도의 현대적 시작을 의미했다. 남한에 진주한 미군은 가장 먼저 일본군 무장해제와 철수를 실시했다. 일본군을 철수시키는 것은 미군정의 행정업무가 아니라 미군의 첫 번째 군사작전이었다. 이것은 남한이 ‘해방지역’이 아니라 ‘점령지역’으로 미군이 직접통치하는 작전구역이었기 때문이다. 미군이 주둔하면서 점령한 지역은 일본군의 군사적 거점지역이었다. 미군은 일본군의 무장해제와 귀환을 목적으로 하였으므로 일본군의 전략 지점에 병력을 배치했다. 미군은 일본군의 군사시설과 병력을 장악하여 한반도를 군사점령하기 위한 거점으로 서울지구, 부산지구, 군산지구를 선정했다. 일본군과 미군의 교차지점 중 유동성이 가장 큰 해방공간은 부산이었다. 부산항은 대다수의 일본인과 일본군이 이동하고, 조선인들이 귀환하였으며, 귀환을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해 많은 수의 미군도 주둔했다. 부산은 미군과 일본군이 동시에 주둔하는 공간이자, 조선인과 일본인들의 귀환항으로 역사적 전개를 맞이했다.
    • 제 목
      해양문화 산업의 변화 방향에 관한 연구-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저자
      양민호
    • 발행처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발행년
      2021.04.30.
    최근 정치・사회・경제 활동이 비대면화 및 온라인화로 대변되는 디지털 경제로 빠르게 변해가고 있다. 이처럼 체험활동의 온라인 전환이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언택트 체험이 새로운 트렌드로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체험’을 바탕으로 해양관광산업에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접목시켜 과거의 단순히 지식이나 스토리를 전달하는 해양관광 체험 서비스 방식에서 벗어나 해양관광 콘텐츠가 더 활성화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실감나고 체계적인 해양서비스 체험을 고객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체험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는 해양체험산업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변화와 참여증진의 기반을 토대로 하여 지속적으로 수요를 제고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 일본의 경우에는 선제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가상현실 해양문화 체험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 주도라기보다는 지자체와 산업 연계를 통한 민관(民官) 협력을 이끌어낸 여러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본 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향후 체계적인 해양문화 정책을 세우기 위한 노력으로 일본의 해양문화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디지털 체험을 기반으로 해양문화 산업에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제 목
      19세기 남중국해 해적과 관군의 전투 기록― 袁永綸의 『靖海氛記
    • 저자
      김경아
    • 발행처
      대한중국학회
    • 발행년
      2021.03.31.
    청대 袁永綸이 쓴 필기 『靖海氛記』는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까지, 중국 남부 해상에 창궐하던 해적을 토벌한 기록이다. 중국의 역사 사료 중 『정해분기』 만큼 해적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문헌은 드물다. 안타깝게도 1830년에 초판이 출간된 후, 중국에서는 유실되어 전하지 않다가, 2007년 대영도서관에서 판본이 발견되었다. 현재까지 『정해분기』에 대한 전면적인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작가 원영륜과 『정해분기』의 판본, 영역본을 소개하고, 『정해분기』의 내용을 해적단의 형성과 세력 확장, 분열과 투항이라는 흐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본 후, 이를 기초로 그 특징과 의의를 분석하였다.
    • 제 목
      한인 디아스포라의 귀환과 해방공간 부산
    • 저자
      최민경
    • 발행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발행년
      2021.03.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versity of perceptions about repatr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local community by examining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Korean diaspora's repatriation and the impact of their repatriation on Busan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unique perception on repatriation and repatriates was formed in Busan, a gateway of repatriation. Since August 1945, more than 2 million Korean diaspora had repatriated to Busan from Japan, mainland China, and Taiwan 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community of Busan, this meant a large influx of population, and various social problems derived from this movement had an effect on the gaze on repatriation and repatriates. Representative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the influx of repatriates were housing shortages, unemployment and infectious disease. In local community of Busan, as confronting and responding to these problems, a ambivalent awareness of the repatriated Korean diaspora was created. Regarding the shortage of housing and unemployment, sympathy turned to the repatriates, although repatriation brought social confusion. However, in the face of the spread of the infectious disease, negative perceptions, in particular anxiety and fear, became more intense, and interestingly, it was prominent toward repatriates from a specific region. Like this when analyzed at the local level, the repatriation of the Korean diaspora was not a legitimate issue as a national task, and gazes on it showed complex aspects due to various social factors. Post-Libera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versity of perceptions about repatr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a local community by examining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Korean diaspora's repatriation and the impact of their repatriation on Busan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unique perception on repatriation and repatriates was formed in Busan, a gateway of repatriation. Since August 1945, more than 2 million Korean diaspora had repatriated to Busan from Japan, mainland China, and Taiwan in a short period of ti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cal community of Busan, this meant a large influx of population, and various social problems derived from this movement had an effect on the gaze on repatriation and repatriates. Representative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the influx of repatriates were housing shortages, unemployment and infectious disease. In local community of Busan, as confronting and responding to these problems, a ambivalent awareness of the repatriated Korean diaspora was created. Regarding the shortage of housing and unemployment, sympathy turned to the repatriates, although repatriation brought social confusion. However, in the face of the spread of the infectious disease, negative perceptions, in particular anxiety and fear, became more intense, and interestingly, it was prominent toward repatriates from a specific region. Like this when analyzed at the local level, the repatriation of the Korean diaspora was not a legitimate issue as a national task, and gazes on it showed complex aspects due to various social factors.ion Period, Busan, Korean Diaspora, Repatriation, Social Problems
    • 제 목
      패전 직후 일본의 해항검역과 귀환
    • 저자
      최민경
    • 발행처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 발행년
      2021.03.30.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by which the boundaries of Japanese were newly defined in the repatriation phase immediately after the defeat of Japan through the maritime quarantine, which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On August 15, 1945, with the collapse of the empire, Japan was forced to undergo a drastic change in the boundaries of its members from a multi-ethnic empire to a monoethnic nation-state. This change surfaced in the process of repatriation in the form of inclusion of Japanese overseas and exclusion of foreigners living in Japan, and the repatriation port was the center of this chan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patriation of Japanese overseas was carried out under strong caution against infectious diseases, especially the influx of cholera. However, because they were the subject of inclusion, GHQ/SCAP and Japanese government mobilized many resources to place them inside the territory in a way that did not disrupt Japa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oreign residents in Japan, maritime quarantine was initially carried out in a limited manner with the aim that their existence would not be an obstacle to the repatriation process of Japanese overseas. However, as the number of returnees to Japan increased, especially among Koreans, the thorough exclusion began with the support of the ‘scientific basis’ to prevent the influx of cholera. And this maritime quarantine against stowaways centered on the repatriation ports was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of positioning colonials, whose the legal status was still vague,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Japanese. The maritime quarantine conducted at Japan's repatriation port immediately after the defeat examined in this study is one of the cases that clearly shows the political nature of quarantine by focusing on the structural change from the empire to the nation-state.
    • 제 목
      대한제국 <관보> 발행의 근대적 변화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발행년
      2020.12.31.
    The official Gazette started with the introduction of a new modern system on top of the traditional system. The official gazette is responsible for disseminating public information to the public. In other words, it is the distribution of public information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In a broad sense, the official gazette refers to all periodicals published by the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notifying the public. In a narrow sense, it refers to the government's official agency published under the heading “Gazette.” In this respect, the modern official book is ver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First, the official gazette of the Korean Empire is a modern form published on the basis of Jobo. Second, the official gazette of the Korean Empire was published based on the official gazette regulations. Third, the official gazette of the Korean Empire was premised on publicity and popularity. Fourth, the official gazette of the Korean Empire has formed a system to expand and share information. Fifth, the official gazette of the Korean Empire realized the publicity and openness of information. Lastly, tthe official gazette of the Korean Empire contains historic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Japan's influence was strong in the compilation and issuance of official gazettes in the Korean Empire. The public could see how the Korean Empire operated through the official gazette. The public could see how and how the national authority was passed to Japan. The official gazette was the official document of the state and had public confidence. Even now, through the official gazette, you can read the changes in the times and the present meaning of the Korean Empire.
    • 제 목
      근대 부산에 침투한 일본어업자의 실태분석
    • 저자
      공미희
    • 발행처
      일본어문학회
    • 발행년
      2020.11.30.
    This paper categorizes the Japanese entrepreneurs who infiltrated modern Busan into fishermen and migrant fishing villages, and analyzes the situation in which Japan was gradually expanding its fishing base and colonizing the Joseon Sea and the Joseon fishermen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fishing to Joseon. In modern Japan, fishing-related treaties were signed in favor of Japanese companies, and the number of fishermen coming to Korea for fishing increased rapidly by invading the fishing rights of the coastal and inland waters of Korea. And when the Russian-Japanese War broke out, a fishing base for migrants was built in Joseon as a military food supply site, and from this point on, a small group of Japanese fishing villages began to emerge rapidly along the Korean coast. Migrant fishing villages were formed in Busan as well as Yeongdo, Daejeon, Yongdang, Hadan, and Dadaepo. The Japanese government, prefectures and fishery organizations provided subsidy incentives for these migrant fishing villages to move Japanese companies to Korea, and the Japanese people had a strong strategy to invade Joseon by expanding their power in Korea. In addition, during the war, fishery products caught in migrant fishing villages were transported to Japan and used for military food procurement.
    • 제 목
      해역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부산항 - 부산 연구를 위한 이론적 시탐(試探)
    • 저자
      서광덕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0.11.30
    이 글은 동북아해역에서 개항을 맞이한 해역도시와 그 도시간의 네트워크 즉 해역네트워크의 관점을 빌려 부산항 연구의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부터 부산은 일본인들의 무역을 위해 ‘倭館’이라는 공간을 제공했다. 1876년 개항이후 ‘왜관’은 일본인의 專管居留地로 변모하여, 해방이전까지 존속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본다면 부산은 역사적으로 일본과 밀접한 연관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은 釜山學 또는 釜山性(로컬리티)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요소다. 그렇지만 근대 이후 부산항에는 일본인들 외에도 중국인과 서양인들 역시 방문하거나 거주하기도 했다. 자료의 부족으로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지는 못했지만, 이는 분명한 사실이다. 이시카와 료타(石川亮太) 등의 아시아交易圈論 연구자들의 성과는 이를 반증한다. 동북아해역내 華商의 활동과 부산 淸國租界의 성립은 대표적인 예다. 일제 강점기 부산은 일본의 대륙 진출을 위한 입구로서 기능했다. 釜關連絡船을 타고 와서 만주를 향해 가려는 사람들이 붐비는 곳이었다. 부산항 인근에 건설된 부산역은 바로 이들을 만주로 실어 나르기 위해 일찍이 건설되었던 것이다. 이 시기 부산은 羅津, 淸津과 함께 일본의 대륙진출을 위한 항구로 적극 활용되었다. 이렇게 일본에 의해 부산항의 기능 그리고 거주인들의 직업 등이 규정받으면서 부산항은 종래의 개항장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있는 것 같지만, 부산을 통한 물동량을본다면 여전히 물적 네트워크 그리고 인간의 이동이라는 인적 네트워크의 매개적인 항구로서 기능해왔다. 해방이후 그리고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부산은 종래의 모습에 즉 일본이 남기고 간 식민지 유산에 피난민의 도시라는 성격을 갖게 되었다. 일본인이 남기고간 흔적 위에 전쟁의 참화로 인한 단층이 쌓이고 여기에 근대화에 따른 해양산업의 탄생이 시작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부산항의 역사를 네트워크, 이동, 공간이라는 관점에서살폈다.
    • 제 목
      한일 언어경관 연구의 新패러다임에 관한 고찰- 역사사회언어학적 방법과 관련 사례를 통하여 -
    • 저자
      양민호
    • 발행처
      동국대일본학연구소
    • 발행년
      2020.08.31.
    수많은 언어경관 연구가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언어경관에 대한 개론적 설명도 부족하다. 또한 언어경관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성 등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연구 논문은 더욱 빈약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역사사회언어학적 입장에서 언어경관 사례를 소개하였고,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를 토대로 새로운 언어경관 패러다임에 대하여 분류하였다. 그 결과 다음처럼 정리해 볼 수 있다. 역사사회언어학적 입장에서 일제강점기의 부산과 해방 이후의 부산의 언어경관은 언어, 문자, 내용, 문자 배열 등에서 상상을 뛰어 넘는 다양성을 지니고 있었다. 한 장의 사진에는 일제강점기를 살아가는 서민들의 삶의 모습이 포착되어 통시적인 언어경관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다음으로 기존의 언어경관 연구를 새로운 패러다임을 분류하였다. 발신 주체, 발신 장면, 상황별, 언어의식, 조사방법, 이미지, 교육, 다문화사회 등과 같이 언어경관 연구 중에 나왔던 개념을 활용하여 정리하였다. 이외에도 더 많은 언어경관의 패러다임이 존재하겠지만,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어프로치로서 다양한 언어경관 연구에 접근할 수 있다는 길라잡이 역할을 했다는데 의의를 두고 싶다.
    • 제 목
      근대 동아시아 지식네트워크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 동아시아 근대 출판의 성립과 이동을 중심으로
    • 저자
      서광덕
    • 발행처
      대한중국학회
    • 발행년
      2020.06.30
    근대는 활자 미디어의 시대이다. 활자의 발명은 인쇄술의 혁명을 가져왔고, 인쇄술의 발달은 대량의 신문잡지와 책의 출판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일반 대중들은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게 되었고, 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근대적인 출판이 시작된 곳은 바로 해역도시들이었고, 이 도시들을 중심으로 각 지역으로 지식이 전파되기도 하고 또 수용되기도 하였다. 근대 동아시아 지역에서 지식의 수용과 전파는 이렇게 형성된 동아시아 출판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근대 동아시아의 출판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서 동아시아 지역의 각 국가들을 중심으로 살피고, 또 이 지역에서 생산된 출판물들이 해역도시들 간에 어떻게 이동되었는지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여기서 도서만이 아니라 출판업 곧 인쇄소, 출판사, 서점 등의 하드웨어 자체가 이동한 것을 중심으로 파악했다. 이것은 근대 이후 동아시아 지역에서 출판의 대중화와 산업화가 이 지역 사람들의 근대적인 지식을 전유하는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 나아가 동아시아의 인문네트워크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기초적인 작업이다.
    • 제 목
      조선과 러시아의 환동해 접경해역을 둘러싼 갈등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0.05.31.
    환동해는 한국, 북한, 러시아, 중국, 일본, 미국이 이해 당사국으로 복잡한 근현대사를 노정해왔다. 특히 접경지역은 국가간, 지역간 교류의 장이자 갈등의 장이었다. 연해주가 러시아의 영토로 편입되면서 두만강을 둘러싸고 한반도와 러시아가 국경을 접하게 되었 다. 러시아는 연해주의 영해도 설정하여 어업권과 항해권에 영향을 미쳤다. 이 글에서는 1937년 중일전쟁 직전 시기의 한반도와 러시아의 영해와 공해에 주목해 보았다. 러시아는 영해 12해리를 주장했고, 일본은 영해 3해리를 주장하여 환동해 어업 은 갈등이 계속되었다. 게다가 1931년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1932년 만주국을 세 우면서 국경을 접하고 있던 러시아와 군사적 갈등이 고조 되었다. 국경에 군사시설이 늘어나고 군인들이 대규모로 배치되는 가운데, 일본과 러시아는 상대국에 대한 정보수집에 총력을 기울였다. 이 시기 어선 나포사건이 빈발했고, 조난 배 경이 의심스러운 사례도 많았다. 1930년대 어선의 나포와 조난어선의 문제는 단순한 어 업분쟁이 아니라 일본과 러시아의 군사적 정보수집과 경계와 관련한 것이었다.
    • 제 목
      일본어 놀이 어휘를 통해 살펴본 해역언어학 연구
    • 저자
      양민호
    • 발행처
      한국일어일문학회
    • 발행년
      2020.05.31.
    This paper studied the sea region linguistic vocabulary that came to Korea across the sea. First of all, I introduced some of the play vocabulary used in Korea, and looked at the Korean dialect section on the dividing chant among the play languages. Through this, the base culture wa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language exchange and propagation. The contents of the 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erms used with various games have also been passed on. Many familiar play methods and chants from Korea have crossed the sea region from Japan. There were songs with Japanese rhymes such as "Clap Your Hands," "Sesese," "Ojami," and "Hanaichimonme." In particular, "Sesese" and "Hanaichimonme" have negative meanings. Next, the team classification chant was divided into Korean dialects. First of all, languages used in Japan because Japanese occupation, domination team classification chant has been in Korea. There are mainly ‘Tetenji’, ‘Dendi’, ‘Sorai’, ‘Ueshidari’, and ‘Uramunte’. To explain this as a dialect wave theory, the "Uraomote" pattern is the oldest, and the "Ue-sita," "Sora" pattern, and the last Japanese expression can be seen as "Tetenji." It can be judged that patterns of the Korean language that translated it have spread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such, the language of the central region is easily accepted by its authority and dignity as it spreads to other regions. In this paper, some vocabularies were considered from a sea region linguistics perspective. It aims to help understand the language base culture in Northeast Asian sea region by expanding regions and increasing vocabulary in the future.
    • 제 목
      근대 동북아해역의 이주 현상에 대한 미시적 접근: 부관연락선을 중심으로
    • 저자
      최민경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0.05.31.
    본 연구에서는 부관연락선을 통한 한인과 일본인의 이동에 주목하여 근대 동북아해 역에 있어서의 이주 현상에 대하여 미시적 접근을 시도했다. 바꾸어 말하자면 부관연락 선을 타고 대한해협을 건너 이동한 한인과 일본인의 이주 경험에 주목하여 부관연락선 이 이들에게 어떠한 공간이었는지, 그리고 그곳에서는 어떠한 이벤트들이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 시기 한인과 일본인의 이주 양상이 그 동기, 형태, 결 과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주 경험에 대한 분석 또한 ‘민족’의 경 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선 한인의 경우, 강제동원 이전과 이후로 부관연락선을 통한 이동의 경험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1930년대 전반까지 부관연락선은 승선 자체가 어렵지만 삶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올라타야만 하는 대상이었으며 혼란 속에 이루어진 이동은 고됨, 절박함과 더불어 희망, 설렘이 뒤섞인 것이었다. 한편, 1930 년대 후반 이후가 되면 부관연락선을 통한 ‘강제적인’ 이동은 생사를 가로지르고 폭력이 난무하는 보다 가혹한 것으로 바뀌게 된다. 다음으로 일본인의 경우 부관연락선의 이주 경험은 양면성을 지니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부관연락선을 통한 이동은 무엇보다 제국 의 최신식 기선의 체험을 의미했지만 이와 더불어 삶의 개척과 좌절을 동시에 경험할 수 도 있었다. 부관연락선은 일본인 이주자를 기회의 땅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기도 했 지만 다양한 이유에서 스스로 삶의 마지막을 선택하는 사람들을 위한 수단이기도 했다. 이처럼 부관연락선을 통한 이동은 그 자체로도 다양한 의미와 감정이 교차하는 것이었고 특히 한인과 일본인이라는 민족의 ‘경계’가 주는 특징은 분명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작업은 기존에 거시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부관연락선 연구가 지니는 한계를 보완하고 관련 연구의 종합성을 높인다는 의의가 있다.

Copyrights (C) 2018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의 역동성 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