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자료실

Total 178건 6 페이지
    • 제 목
      냉전의 바다를 건넌다는 것: 한인‘밀항자’석방 탄원서에 주목하여
    • 저자
      최민경
    • 발행처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1.11.30.
    1950년대 들어 한인의 ‘밀항’은 일본사회에 공산주의를 침투시킬 가능성이있는 이동으로서, 이전의 전염병, 범죄와는 차원이 다른 위험 요인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한인의 ‘밀항’이 냉전과 교차하는 양상을 한인 ‘밀항자’ 석방 탄원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밀항자’ 석방을 위하여 가족, 친인척 이외에 반공산주의계 민족단체의 관계자가 탄원인으로 등장하여 ‘밀항자’가 위험한 ‘생각’을 지닌 사람이 아님을 ‘증명’하였음을알 수 있었다. 다만, 이러한 ‘증명’이 언제나 유효했던 것은 아니며, 경찰 조사등을 바탕으로 GHQ/SCAP에 의한 ‘해석’의 과정을 거쳤다. 각종 이력을 근거 삼아 ‘밀항자’는 물론 탄원인의 ‘생각’을 공산주의와의 관련성이라는 측면에서‘해석’하였으며, 이는 자의적인 측면이 없지 않았으나, 궁극적으로 ‘밀항자’의석방 여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한인 ‘밀항자’ 석방 탄원서는 해방 이후한인 도일이 냉전이라는 구조적 배경에 의해 어떻게 제약을 받아 ‘불법’이 되었으며, 한편으로는 그러한 정치사회적 맥락 아래에서 ‘불법’이 ‘예외’로서 인정되는 국면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7:07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대만해협위기와 심리전 - 냉전시기 대만과 중국의 삐라를 중심으로
    • 저자
      이가영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1.11.30
    본 연구는 냉전시기 대만해협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대만이 살포한 삐라를 중심으로, 중국과 대만 간의 심리전을 분석한다. 주지하다시피, 대만해협은 1949년 국공내전에서 패한 국민당이 대만으로 본거지를 옮긴 이후부터 지금까지 냉전과 열전이 혼재해있는 공간으로 남아있다. 대만의 ‘본토 수복’과 중국의 ‘대만 해방’이라는 기치아래 발생한 고령두 전투, 제1차 대만해협위기 및 제2차 대만해협위기 등은 열전과 냉전이 교차된 갈등의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특히, 제2차 대만해협위기 이후 양측의 갈등은 대만해협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벌어진 국지전이자, 양측의 육·해·공군이 합동으로 전개한 전면전의 성격을 동시에 갖는다. 또한 상대를 향해 대규모의 포탄을 발사한 포격전이자 다양한 형태의 선무방송, 선전보도, 삐라살포가 이루어진 심리전의 성격도 나타난다. 양측은 자신의 이념과 사상을 선전하고 상대의 전의 상실과 항복을 유도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심리전을 전개하였다. 그중 삐라전은 다양한 운송수단과 제작기법 및 기획 전략의 발전으로 인해 보다 많은 적들에게 노출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심리전의 방식으로 인식되어왔다. 삐라는 넓은 지역에 광범위한 심리전을 펼칠 수 있는 방법이자, 신문·잡지·라디오·방송 등 제도적 매체를 접할 수 없는 일반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비제도적 매체로서 뛰어난 접근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이 글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대만해협에서 진행된 중국과 대만의 삐라전을 분석하여, 양측의 전투 목적과 운용 전략을 분석한다. 두 번째는 문헌과 자료의 분석을 통해, 중국과 대만이 운용한 다양한 삐라 살포 방식을 정리하고, 각각의 살포 방식이 지닌 특징을 도출해낸다. 세 번째는 중국과 대만의 삐라에 담긴 주제의 전형성을 추출하고 이를 분류함으로써, 각 삐라의 제작목적과 삐라 속에 담긴 논리를 추적한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7:07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원양어업 선원들의 경험을 통해 본 해역세계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 발행년
      2021.10.30.
    해역을 삶의 터전으로 살아온 선원들은 그들의 시선으로 바다를 보았다. 선원으로서 개인사는 특수한 경험이지만, 이것이 모여서 공동체의 기억이 되고, 또 사회의 정체성을 찾아갈 수 있다. 선원들의 활동이 국가 경제와 연결되어 장려된 것은 1960년대부터였다. 이 글은 한국현대사 속에 원양어업을 역사화 시켜보려는 시도로, 선원 개인의 삶을 거시적 변화 속에서 읽어보려고 한다. 원양어업 선원들이 경험한 바다는 또 하나의 세계를 이루고 있다. 이것을 해역세계라고 명명하고 인류사회가 형성한 또 하나의 삶의 영역으로 구분하려고 한다. 선원들은 한국 내 정책, 국제법, 어업과 관련한 상대 국가의 정치사회적 변동을 동시에 적용받았다. 선원들은 국제사회의 변화를 최전선에서 대면하고, 해역세계를 이동하면서 거점을 마련했다. 북태평양, 남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남빙양 어장에 어업기지를 건설하고 이를 거점으로 네트워크를 만들어갔다. 원양어선에 승선한 선원들의 세계관과 인식은 바다의 현장에서 형성되었다. 출항한 배는 그 자체로 하나의 공동체였고, 또 다른 사회를 만들어갔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7:07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부산의 산동네와 해역 이주: 근현대의 연속성에 주목하여
    • 저자
      최민경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1.08.31.
    본 연구에서는 부산 산동네의 역사적 형성 과정을 근현대의 연속성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고찰의 결과, 부산의 산동네는 크게 세 시기에 걸쳐 등장, 전개, 확대되어 왔으며, 모든 시기에서 해역 이주 현상과 뒤얽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초반, 1940년대 후반, 그리고 1950년대 초반의 급격한 인구의 사회적 증가가 부산 산동네의 역사적 형성의 결정적인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일제강점기 부산역과 부산항을 중심으로, 도일을 희망하는 노동자의 적체로 인해 등장한 산동네는 해방공간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귀환동포와 피난민의 대규모 유입을 통해 부산 내 여러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바꾸어 말하자면, 부산의 산동네를 근현대 전반에 걸쳐 장기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면 그것은 바다를 통하여 여러 가지 의미에서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동과 맞물리는 형태로 역동적인 형성 과정을 거쳐 왔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고찰은 일반적으로 한국전쟁 피난민 유입에 부산 산동네의 기원을 찾는 기존 연구에 해역인문학적 시각을 더하여 부산 도시 형성의 역사를 살펴보는 작업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즉, 한국전쟁 피난민 유입은 부산의 산동네가 오늘의 모습에 이르는 가장 극적인 계기가 되었음은 분명하지만, 이는 부산이 근대와 현대에 걸쳐 경험한 바다를 통한 고유의 인구 이동과 증가의 역사를 바탕으로 중층적으로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이라는 지역, ‘로컬’은 해역, 구체적으로는 동북아 해역을 가로지르는 인문 네트워크와의 상호 작용 속에서 초국가성/국가성을 내포하며 전개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국제 비교 연구를 통해 이론적, 사례적 함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7:07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중국의 여해적 정일수(鄭一嫂)와 해상권력의 구축
    • 저자
      김경아
    • 발행처
      중국인문학회
    • 발행년
      2022.4.30.
    19세기 남중국해는 해적들의 전성기였다. 1805년 6개 해적 방파는 협약 체결을 통해 연맹을 구축했고, 남중국해의 항로를 오가는 유럽의 상선과 관군을 상대로 약탈을 일삼았다. 6개 방파 중 가장 강력한 세력은 홍기방이었고, 홍기방의 두목은 연맹의 수장으로 막강한 해상권력을 장악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여해적 정일수가 해적 세계에서 어떻게 젠더와 성적 규범을 초월해 자율성을 얻었는지, 그리고 남성 중심으로 운영되던 해적 세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권력을 확보하고, 해적 두목으로서의 정체성과 지위를 굳건히 했는지에 주목했다 ‘정일의 아내’라는 의미를 가진 그녀의 이름처럼, 중국의 기록자료에서 그녀는 숨겨지거나, 혹은 남편들의 활약에 가려져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서양 문헌자료의 비교고찰을 통해 연구 주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오키나와 문제의 리저널리즘적 접근:‘미군기지’와‘집단자결’문제를 중심으로
    • 저자
      이상원
    • 발행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발행년
      2022.3.31.
    The study focused on the issue of U.S. military bases in Okinawa, Japan, and a number of issues surrounding “collective determination” amid many current issues in East Asia. In the process of conducting analysis centered on lepo-style references and papers, we learned that political and military issues in Okinawa have formed a historical strata intertwined with western powers in east Asian history, not on issues between one and two countries. In conducting these studies, “Regionalism”, presented as a research method, was inspired by a paper by Marukawa (2003). “Regionalism” is a concept that has been used primarily in modern political science, but Marukawa (2003) gave the concept a new meaning. In other words, it defines it as a “sense of history” that finds historically accumulated structural connections between countries and forces in the region based on “regional liquidity” beyond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state.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geographic space” and “cultural space” within the framework of “region” was considered a valid idea for explaining Okinawa and analyzing the problem in East Asia. In this paper, Based on these research methods, the issue of “U.S. military bases” and “collective determination” was examined in the regionalism view of Marukawa (2003) after the Ryukyu Administration,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as a period of four phases: 1. the change period of spatial awareness in Japan, 2.geographic distance sensor (geopolitics), 3.cultural distance sensor (cultural designation), and 4.cultural distance sensor adherence (cultural geography).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geographic space” and “cultural space” was introduced within the strata of history in East Asia and the framework of “region” to try to analyze the Okinawa problem. These attempts will give a new perspective on east Asia's history and political and military issues, and furthermore, it will become a new paradigm for east Asia's coexistence and peace building, which will expect to give many implications in the future.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한국전쟁 후 영도대교의 장소성과 점바치골목의 사회적 의미
    • 저자
      김경아
    • 발행처
      동북아문화연구
    • 발행년
      2022.3.3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origin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spotted village” under Yeongdo Bridge. When Yeongdo Bridge was first opened in 1934, it was the first drawing bridge in Korea and a landmark of Busan.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and Busan was selected as a temporary capital, numerous refugees fled to the city to avoid suffocation from the war. During this period, Yeongdo Bridge was more than just a bridge connecting islands and land; It had a clear geographic identity that reflected the socioeconomic situation at that time. Due to the unique location of Yeongdo Bridge, a “dotjaengi village” was created. There are four chapters in all in this document. Chapter 1 discussed prior studies and research methods. In the 1950s, there are few records of the commercial districts of fortune tellers or fortune tellers under Yeongdo Bridg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study read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ime and analyzing the meaning.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ociology. Chapter 2 looked at the evacuation of refugees to Busan and why they settled around Yeongdo Bridge. It also looked at how Yeongdo Bridge was linked to the life of refugees and what kind of place identity Yeongdo Bridge possessed. In order to approach the research topic, 19 popular songs that Yeongdo Bridge appeared in the lyrics were analyzed among popular songs in the 1950s and 1960s. The establishment of an astrological community beneath Yeongdo Bridge and its social importance a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final chapter is Chapter 4.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The purpose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한국전쟁기 유엔군 군수사령부 편성과 부산항
    • 저자
      김윤미
    • 발행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발행년
      2022.3.30.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logistical role of the Munitions Command, which was established at the Port of Busan while securing Busan as a bridgehead.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the war are strategy and logistics. South Korea could not go to war on its own. All logistics were supported by sea transport. In light of this, we will pay attention to three things in the Korean War. First, what role did the maritime logistics system play in the Korean War? The U.S. military, which commanded U.N. forces, unified the transport of the Army, Air Force and Navy, which had operated in individual systems since World War II, into one system and projected the United Sea Logistics Operations into the Korean War. Second, why did the U.S. and U.N. forces make the Port of Busan a bridgehead? Busan Port was a terminal connecting sea and land transport. Of course, there are road and route transports, but ships and railway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during the Korean War. This transport system became the main method during the Korean War based on the historical relationship of Busan Port and Busan Port and Busan Station connected to Japan's ports. Third, we noticed that busan port, which was in the logistics system of the modern Japanese “empire”, introduced a combined logistics system that united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Korean War. Even now, there is a military force in Busan Port, and the system that was esta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still exists. The three things noted in this article are that we look at the Korean Wa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ceans, and we will also look at the skirmishes of the 21st century war to develop our maritime power. I was.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식민지 조선과 대만의 일본어 보급 실태 연구:총독부의 교육정책과 초등교육기관의 학제를 중심으로
    • 저자
      이상원,주현희
    • 발행처
      한국공공사회학회
    • 발행년
      2022.2.28.
    같은 시기에 일제강점기를 겪은 조선과 대만은 일제의 교육정책과 동화정책의 일환으로써 국어(일본어) 교육을 강요당했고 자국어를 말살 당한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또한 초등교육기관의 증가에 비해 중등, 고등교육기관의 설립은 더디게 진행되었다. 이는 시세(時勢)와 민도(民度)에 맞춰 보통의 지식과 기능만을 습득시키기 위한 교육억제정책으로 국어(일본어) 보급에만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식민지 조선과 대만은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을 통해 서서히 황국신민으로 양성되어 갔다. 대만의 경우 조선보다 이미 15년 이전부터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받게 되었고 조선 역시 1910년 한일 병합을 통해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받게 되었다. 동시대이지만 역사와 사회적 상황이 서로 달랐기 때문에 일제의 통치 방법과 교육정책에도 차이가 있었다. 그러한 양국에 있어서 교육정책의 목적과 본질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총독부의 교육령과 제도권 교육기관의 학제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총독부의 교육정책과 그 일환으로 행해진 국어(일본어)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교육령을 중심으로 제도권 교육기관인초등교육기관의 학제를 비교‧고찰함으로써 일제가 식민지 조선 및 대만의 학령기 아동들에게 교육하고자 했던 정책을 비교·분석하여 국어(일본어)교육의 보급상황과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한국전쟁기피란민의 부산 정착과정과 정부정책 고찰
    • 저자
      공미희
    • 발행처
      韓國아시아學會
    • 발행년
      2022.2.28.
    본 연구는 한국전쟁 발발 후 부산으로 피란민들이 가장 먼저 유입된 시점부터 어떻게 해서 부산에 정착을 해나갔는지에 대한 과정을 정부정책과 연관 지어 전체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부산은 약 천일 동안 대한민국 정부의 피란수도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고, 피란민들이 부산으로 쇄도하자 정부는 부산으로의 인구집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避難民 分散에 關한 件」과 「피난민 소개 및 구호요강 송부의 건」이라는 정책을 공포했다. 그러나 정책공포 이후에도 피란민들의 부산집중 현상은 여전했고 1951년 당시 기준으로 부산의 인구는 전쟁 전보다 무려 37만여 명이 갑자기 증가한 85만 명 정도에 이르렀다. 이렇게 부산으로 몰려든 피란민들에게 정부는 1950년 8월 4일 「피난민수용에 관한 임시조치법」과 개정을 공포해 비상사태를 감안하여 임시로 피란민 수용구호를 추진하고 피란민 수용에 대한 공간적 범위가 귀속재산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주택, 여관, 요정 기타 건물에까지도 가능하도록 했다. 부산시도 피란민을 수용할 여유가 있는 가옥에 대해서 사회부 장관의 이름으로 입주명령서를 발부시켜 피란민을 수용하도록 하였고 또 마을 사람들에게 부탁을 해서 빈방 혹은 하다못해 마을 방앗간이나마 거처를 마련해 주도록 했다. 한편 부산에서는 이런 정부적인 정책만이 아닌 부산 원주민들의 개인적 차원에서도 자발적으로 피란민들을 위해 ‘방 하나 내어주기 운동’을 전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식량배급 면에 대해서도 부산시는 처음 피란민이 올 때는 주먹밥을 만들어 주었으나 1주일이 지나면서부터는 1인당 하루 양곡 3홉과 부식비 50원씩의 식량배급을 해주었다. 그리고 그 이후 구호금으로 구성된 유엔 한국 재건단(UNKRA)은 전쟁 시기 원조자금을 관리하며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피란민과 무주택자를 구호했고 유엔민사원조사령부(UNCACK)는 구호물자를 피란민에게 공급하였다. 그러나 주택은 물론이고 식량배급도 부족하여 수용소에 있었던 피란민들은 그나마 끼니가 다소 해결되었으나 대부분의 피란민들은 스스로 판잣집이나 움막 등을 짓고 생계를 유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에 국제시장이나 용두산 등에서는 판자촌들이 밀집해 있었고 또한 이 시기 부산에는 하루에 3~4건의 화재가 평균적으로 발생했다. 화재가 발생할 때마다 특히 판자촌은 하루아침에 다 무너졌다. 그러나 피란민들은 거기서 주저앉거나 삶을 포기하지 않았고 다시 회생하기 위해 손에 피땀 흘린 노력과 열정 희생들이 지금의 부산의 경제를 살리는데 아주 중요한 일군으로서 한몫을 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6:12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Analysis of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
    • 저자
      Mi-Hee Kong
    • 발행처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v10n1
    • 발행년
      202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Japan expanded its fishery bases in Joseon and colonized and ruled the coastal and offshore areas of Joseon and its fishery industry by analyzing th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Japanese migrant fishing villages in Ulsan.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the private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ese people was formed during the colonial era. There were free-migration fishing villages, such as Sinam, Sejukpo, Ilsanjin, and Jeongja, where Japanese fishermen migrated and settled to make a living and earn personal incomes by catching fish, such as sardines, sole, and cero. In the case of Jeonhari, it was initially an aid-migration fishing village, which was formed as the Shimane Prefecture government offered aid grants to have fishermen migrate and later more Japanese fishermen migrated by their free will. Bangeojin was a migrant fishing village formed based on the combination of free migration and aid migration. The establishment of those migrant fishing villages was managed as part of Japan’s colonial policies as the Japanese government intended to colonize Joseon. The Japanese government aimed to obtain the fishery resources of Joseon, and there was also a strategic intention to have Japanese people migrate to geographically important spot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have a militarily competitive edge. It was also found that the fish caught in migrant fishing villages were carried to Japan to be used for military food procurement in times of war, as seen in Sinam, Sejukpo, and Bangeojin. The early process of the colonization of Joseon was confirmed through the Association of Japanese People formed in Bangeojin, which gave Japanese people the privilege to engage in commerce in Joseon and supported Japanese settlers, groups, and organizations that aided in the colonization of Joseon. Lastly, this study analyzed how private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ese people was formed during the colonial era.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Joseon and Japanese people at red-light districts, public baths, and schools. Conversely, the records about the Joseon person hired by a Japanese store owner and a Joseon person who gave considerations to Japanese people showed personal trust and friendly attitude between civilians beyo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nizers and the colonized at a governmental level. Keywords Migrant fishing village in Ulsan, intrusion, marine products, fishery, colony, Private Exchange [이 게시물은 HK+사업단님에 의해 2022-06-14 15:45:34 학술논문자료실에서 이동 됨]
    • 제 목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ne Experience Fa…
    • 저자
      Minho Yang, Joonhwan Kim
    • 발행처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v9n2
    • 발행년
      2020
    This study used the experience satisfaction index from the PKNU Maritime Index to examine Koreans' preference for marine experience and use the findings as basic data for policymaking in the future. The PKNU Maritime Index of Koreans was 585.3 out of 1,000, and the experience satisfaction index was 63.6. By focusing on the experience satisfaction index,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KNU Maritime Index had changed dynamically. The analysi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sub-domains of the PKNU Maritime Index, the degree of experience satisfaction had continued to increase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index. This paper further studie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the marine experience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index. Above all, this study's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policy alternatives related to marine experience in the Northeast Asian sea region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PKNU Maritime Index, Experience Satisfaction Index, Marine Experience Factors, Regression Analysis
    • 제 목
      A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Backgr…
    • 저자
      공미희
    • 발행처
      Journal of Marine and Island Cultures v7n2
    • 발행년
      2018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facts about the inven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Sukiyaki and Tonkatsu in Japan around the foreign settlements formed by the then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and promote a meat-eating culture and the opening of ports, based on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ukiyaki, well known as a typical fusion dish that combines Japanese traditional cuisine and Western culture, was born with the beef-eating culture that emerged with the cross-cultural exchanges with the West since the 17th-century Edo period. As a beef dish harmonizing Japanese traditional condiments and Western beef, it was first known as “Sukiyaki” in the Kansai region and as “gyu nabe” in the Kanto region, which use similar ingredients but differ in the cooking process and methods. Under the impact of the Kanto Earthquake in 1923, the two terms were integrated into “Sukiyaki,” which is the current name of this type of dish. Another Japanese-Western fusion dish, Tonkatsu, born from pork, the main ingredient of the dish, began to be supplied to the Japanese market as a cheaper substitute to beef that was then in short supply due to rising demand. Tonkatsu emerged as part of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to promote a meat-eating culture in order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The supply of pork as military food greatly influenced the spread of Tonkatsu, which came to have its present form during the era of Japanese imperialism. Keywords Cross-cultural exchange, Japanese meat, Meiji, Sukiyaki, Tonkatsu, and Food culture
    • 제 목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과 일본어 교육의 실태 -사회적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 저자
      이상원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1.08.31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은 식민지 조선의 제도권 교육기관과 사회적 교육기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규제함으로써 식민지 지배를 위한 주요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민족주의계 사립학교와 종교계 사립학교를 규제하기 위해 1908년에 시행된 ‘사립학교령’과 한일합방 이후 1911년부터 해방까지 식민지 조선의 교육정책에 근간이 된 ‘조선교육령’은 38년간 조선의 학령기 아동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강제된 교육의 형태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여러 번에 걸친 조선교육령 개정을 통해 식민지 조선은 점진적으로 동화정책의 늪에 빠져들기 시작한다. 한일합방 이전 을사늑약 체결단계에서부터 한국의 민족운동적 성격을 가진 사립학교 건립운동은 일제에게 큰 위협요소였다. 당시 1908년경 전국 각처에 사립학교는 4,000개~5,000개에 이르렀고, 일제의 통감부는 1908년 ‘사립학교령’을 공포하고 사립학교에 대한 탄압을 본격화 한다. 이후 조선에서의 전반적 교육정책의 근간이 되었던 ‘조선교육령’의 시행에 따라 당시 제도권 교육기관만이 아닌 사회적 교육기관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1차 조선교육령기는 일제의 식민지 교육정책에 대응하는 정책으로 정규 교육기관 이외의 보조적 기능의 기관으로 ‘학술강습회’와 ‘야학’의 역할도 하면서, 일본어교육기관으로 변질되어 간다. 제2차 조선교육령기에는 전국적으로 ‘학술강습회’와 ‘야학’의 확산시기이기도 하지만 일제의 문화통치기에 접어들면서 일본어 외에 조선어, 산술, 한문 등의 수업이 늘어나며 일본어 교육의 침체기에 들어서는 시기이다. 제3차 조선교육령기는 일제의 황국신민화 정책을 통해 일본어 교육의 반감과 고조된 반일 감정과는 달리 달아오른 교육열과 함께 피교육자 상당수가 일본어교육에 매달린 시기이기도 하다.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일본어는 입신양명을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이 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교육정책의 근간이 되었던 조선교육령 공포 시기를 기준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일본어 교육이 이루어 졌으며 지역 별 해득 수준과 규모는 어느 정도였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일본어 교육의 보급시기, 정체시기, 확장시기로 나누어 통시적 관점에서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아울러 당시의 시대적 분위기를 고려하여 ‘조선총독부관보’와 ‘신문자료’등의 사료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제 목
      三婆神, 媽祖, Joss: 19세기 남중국해 해적과 해양 신앙
    • 저자
      김경아
    • 발행처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1.05.31.
    19세기 남중국해는 유럽의 상선들로 북적였고, 해상 무역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해적들의 규모도 점차 커져갔다. 해적은 정부의 권력이 미치지 않는 바다를 떠돌아다니면서 어선과 상선을 약탈하는 범죄자 집단이었다. 혈연, 지연, 학연처럼 공동체의 구성원을 하나로 묶을 연결고리가 느슨한 상태에서, 이들 집단에게 해적으로서의 정체성을 부여하고,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과 연대감을 느끼게 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해적 세계에서 숭배했던 종교가 무엇이고, 그것이 가진 역할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세 종류의 문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첫째는 1830년에 출판된 『靖海氛記』인데, 이는 작가 원영륜이 남중국해 해적연맹의 흥망성쇠를 기록한 책이다. 둘째는 개신교 선교사 귀츨라프의 중국 항해기록이다. 해적에 관한 기록은 아니지만, 중국 남부와 동부 바다를 항해하면서 직접 목격한 중국 어선과 그들의 신앙에 대해 기록해 놓았으므로, 해적의 해양신앙을 분석하는데 좋은 참고자료가 된다. 셋째는 19세기 초중반 해적들에게 납치되었던 외국인들의 회고록이다. 이들은 납치기간 동안 해적들과 해적선에서 함께 생활했기에, 이들의 회고록 속에는 비록 단편적이긴 하지만, 중국의 문헌에 기록되지 않은 해적들의 문화와 종교 제의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해적은 당시 사회의 최하층민이면서 범죄자집단이었기에, 그들 스스로 자신들에 관한 기록을 남길 이유도, 그럴 필요성도 느끼지 못했다. 현재 해적연구의 많은 부분이 공백으로 남아있는 이유는 바로 그들에 관한 문자기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해분기』와 선교사 귀츨라프, 납치되었던 외국인(글래스풀, 패니 로이오트)의 기록 등을 통해 19세기 해적들이 언제, 어떤 방식으로 종교 제의를 지냈는지를 재현하고, 해적 세계에서 종교의 역할과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Copyrights (C) 2018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의 역동성 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