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자료실

Total 149건 1 페이지
    • 제 목
      해역도시는 이민을 어떻게 ‘기억’하는가- 일본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 저자
      최민경
    • 발행처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4.3.
    본 연구에서는 일본 요코하마(横浜)를 중심으로 후발이민국가의 해역도시가 품는 이민의 ‘기억’을 이민박물관을 포함한 도시의 ‘기억’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분석의 결과, 요코하마의 이민의 ‘기억’은 근현대 요코하마항(横浜港)의 발자취를 바탕으로 한 미나토미라이21(みなとみらい21)의 장소성에 기대어 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항지구의 “근대 항만의 발상지”로서의 장소성은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일본인 이민의 역사와 적극적으로 교차한다. 결과적으로 요코하마에서 이민의 ‘기억’은 요코하마항에서 바다를 건넜던 선구자인 디아스포라의 흐름, 그리고 그들과의 인적, 물적 네트워크로서 상기, 공유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일본인 이민의 떠나감의 ‘기억’과 이어짐의 ‘기억’이 글로벌화 속 진행된 도시 재개발 과정 속에서 발굴되었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항지구는 개항에서 시작하여 발전해 온 요코하마항, 나아가 요코하마의 역사를 계승하는 공간으로서 설정되어 개발이 추진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새롭게 재구성, 확립된 도시의 정체성과의 연동 속에서 이민의 ‘기억’ 또한 활발하게 소환된 것이다. Focusing on Yokohama, Japan, this study examined the ‘memory’ of migration held by port cities in later comers of immigration coun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mory’ of cities including migration museu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inato Mirai 21's sense of place, based on the modern history of Yokohama Port, was embodied in the 'memory' of migration. In particular, the new port district’s sense of place as the “birthplace of modern ports” actively intersects with the history of Japanese migrants that began in the late 19th century. As a result, the ‘memory’ of migration in Yokohama was recalled and shared as the flow of the diaspora, the pioneers who crossed the sea from the Yokohama Port, and the human and material networks with them.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se ‘memories’ of Japanese migrants’ departure and ‘memories’ of connection were discovered during the urban redevelopment process that took place amidst globalization. The development of the new port district was promoted as a space to inherit the history of Yokohama Port, and further Yokohama, which has started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In this process, the ‘memory’ of immigration was also actively recalled in conjunction with the newly reconstructed and established identity of the city.
    • 제 목
      군항도시 사세보(佐世保)의 평화산업항만도시로의 전환을 위한 도전 : 사이카이(西海) 국립공원 지정 과정에 주…
    • 저자
      이상원
    • 발행처
      한국정치사회연구소/한국과 국제사회
    • 발행년
      2024.2.
    이 연구는 구(舊)일본해군의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맡은 군항도시 사세보(佐世保)가 관광도시로 전환되는 과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사세보는 1889년 7월 진수부(鎮守府)가 개청된 이래 군사 전략적 요충지로 자리잡았다. 1946년 다나카 마사스케(田中正輔) 시장의 취임 이후, 군항도시의 이미지를 벗고자 평화산업항만도시의 실현을 위해 관광산업을 추진하였고 사세보 주변 해역을 포함한 서해 일대를 국립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 하지만 사이카이(西海)국립공원 지정 논의가 한창 진행된 시기인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였고 미국에 의해 일본의 재무장을 촉진 시키는 계기가 된다. 1950년 7월 맥아더에 의해 해상보안청이 설치되었고 그 총감부가 사세보에 배치된다. 니시오카(西岡) 현(県)지사와 다나카(田中) 시장은 지역경제를 고려하여 군상(軍商)항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목표로 의지를 표명했다. 1955년 여러 난관을 뚫고 서해 일대가 만장일치로 국립공원 1순위로 결정되었고 3월 16일 정식으로 지정되었다. 본 논문은 사세보시가 군항도시에서 관광도시로 전환하기 위하여 추진했던 사이카이(西海)국립공원 유치 활동과 지정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아울러 동아시아의 역사 속에서 사세보라는 군항도시가 평화산업항만도시로 변천되어가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Sasebo has been established as a military strategic point since the opening of the Ministry of Chinju-fu in July 1889. Since the inauguration of Mayor Masasuke Tanaka in 1946, the tourism industry has been promoted to realize a peace-industry port city in order to shed the image of a military port city, and the West Sea area, including the waters around Sasebo, has made every effort to be designated as a national park. However, the Korean War broke out in 1950 during the height of discussions on the designation of a Saikai national park, and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promote Japan's rearmament by the United States. The Maritime Security Agency was established by MacArthur in July 1950, and its general superintendent was assigned to Sasebo. The prefectural governor of Nishioka and the mayor of Tanaka expressed their will to catch two rabbits, port of a military and commerc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economy. Through various difficulties in 1955, the West Sea area was unanimously decided as the first national park and was officially designated on March 16. This paper intends to consider the activities that Sasebo City promoted to convert from a military port city to a tourist city and the process of designation of Saikai National Park. In addition, in the history of East Asia,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transforming a military port city called Sasebo into a peace industry port city.
    • 제 목
      '도쿄 쓰레기 전쟁'과 해역: 희생과 재생의 착종
    • 저자
      최민경
    • 발행처
      동아시아일본학회
    • 발행년
      2024, vol., no.89, pp. 5-25 (21 pages)
    본 연구에서는 ‘도쿄 쓰레기 전쟁(東京ゴミ戦争)’을 전후한 고도 경제 성장기 일본, 그 중에서도 도쿄의 쓰레기 문제를 해역 공간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고도 경제 성장기 도쿄에서는 늘어난 인구만큼 쓰레기 또한 급증하였고, 이를 바다에 가져가 버리면서 매립하는 것, 즉, 해면(海面) 처분장의 이용은 최대의 해결법이자 유일무이한 방법으로 인식되었다. 그 결과 도쿄만(東京灣)에는 쓰레기 섬들이 탄생하게 되는데, 이들에게는 ‘꿈의 섬’, ‘젊은 섬’, ‘바다의 숲’과 같이 미래 지향적이고 자연 친화적인 이름이 붙여졌다. 주목해야 할 사실은 이러한 이름이 함축하듯이 쓰레기 섬들은 새로운 ‘땅’으로서의 가능성만을 강조하는 탈역사적인 방향으로 재생을 요구받았다는 사실이며, 이 과정에서 해역은 결국 인간이 ‘다룰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한다. 경제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역의 일부를 인간의 입장에서 적정하게 폐기물을 위해 사용하고, 사용이 끝난 후에는 다시 인간이 원하는 방향으로 새롭게 ‘땅’으로서 이용하겠다는 발상인 것이다. 이는 결국 인간과 환경의 분리, 그리고 전자를 우위에 놓은 결과물이기도 하다. 도쿄만에는 지금도 더욱 거대한 쓰레기 섬이 만들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끊임없는 해역의 희생과 재생의 과정이 어떠한 논리와 발상으로 이뤄지는지 계속해서 비판적으로 지켜봐야겠다. In this study, the garbage problem in Japan, especially Tokyo, during the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before and after the ‘Tokyo Garbage War’, wa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sea region. During the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in Tokyo, waste also surged as much as the increased population, and landfilling by taking it to the sea, that is, the use of a sea surface disposal site, was recognized as the best solution and the only way. And as a result, garbage islands were created in the Tokyo Bay, and all of these garbage islands in the sea region had future-oriented and nature-friendly names such as Dream Island, Young Island, and Sea Forest. It should be noted that, as these names imply, garbage islands have been required to be regenerated in a de-historic direction that only emphasizes their potential as a new ‘land,’ and in this process, the sea region eventually becomes a space that humans can manage/handle. Garbage islands in Tokyo Bay are the result of the idea that humans will appropriately use part of the sea region for wast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technology, and use it as a new ‘land’ in the direction humans want after use is over. This is also the result of separating humans from the environment and then thinking human-centered and superior. In Tokyo Bay, garbage islands are still being built on a larger sca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critically watch what logic and ideas such as this constant process of sacrifice and regeneration in the sea region is carried out.
    • 제 목
      해양활동체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부경해양지수를 중심으로-
    • 저자
      양민호
    • 발행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발행년
      2023, vol.1, no.77, pp. 131-145 (15 pag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pinions of the public on sustainable marine activities and experiences through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marine cultural awareness survey conducted in 2023. Marine activity experience is to let you know the sea. After all, the space for marine experience will be a workplace for someone and a very important space for marine education. Therefore, the place of marine activity experience is an open space, not a dead space, and it is a relaxing space for all Koreans to feel and experience in the ocean. In this paper, I looked at the marine experience activity index among the Pukyong Maritime Index items. As a result, marine experience and marine-related activities were the highest. Next, the marine culture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marine-related mass media. Nevertheless, marine experience activities are still low. This is because the demand for marine experience activities has not recovered from the influence of Covid-19.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consciousnes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ea-related occupations. People in the past or present occupations related to the sea tend to have frequent marine experience activities and consume a lot of marine content .In fact, marine activity experience mainly corresponds to nature-friendly outdoor activities, not indoor activities. However, it is a high-risk activity compared to other hands-on activities. How to resolve these risks is destined to be solved by future marine activity experiences.If the image of marine activity experience is not removed, sustainable marine activity experience or marine tourism will not be activated. In this regard, a solution is necessarily needed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 제 목
      부(負)의 역사문화유산으로 살펴보는 해역인문학적 연구- 일본의 사례를 통하여
    • 저자
      양민호
    • 발행처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발행년
      2023, vol.62, no.4, 통권 133호 pp. 91-109 (19 pages)
    본 논문은 부(負)의 역사문화유산과 다크투어리즘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구체적 사례로 일본의 히로시마 원폭 돔과 그 주변의 평화시설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근대 역사문화유산이 주로 해역에 위치하고 있다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해역 역사문화유산을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전쟁의 상흔이 있는 곳의 부(負)의 역사문화유산 건축물 역사를 통해 살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과거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미래를 준비함으로써 향후 해역문화유산을 보유한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연구는 밝고 찬란한 세계문화유산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지만 이 논문에서는 비교적 관심이 적고 버려진 부(負)의 역사문화유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 일본 사례를 통해 부(負)의 역사문화유산이 어떻게 지역부흥과 발전에 기여하며, 미래 관광자원으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좋은 사례가 되었다. This paper explains neg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dark tourism, and analyzes Japan's Hiroshima Atomic Bomb Dome and its surrounding peace facilities as specific examples. It was also possible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that modern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s mainly located in the sea region. As a way to identify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the sea region, it is desirable to look at the negative history of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buildings in the place where the scars of the war are. This is because by looking back on the past and preparing for the future, it is possible to promote tourism in areas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n the sea region in the future. Until now, research has focused on bright and brilliant World Heritage sites. However, in this paper, we looked at neg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s that were relatively less interested and abandoned. Through specific Japanese examples, it became a good example of how neg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contributes to regional revival and development and plays a role as a future tourism resource.
    • 제 목
      중국 동남 연해지역의 관우문화 고찰 - 福建 東山을 중심으로
    • 저자
      이민경
    • 발행처
      대한중국학회
    • 발행년
      2023, vol., no.85, 통권 85호 pp. 405-424 (20 pages)
    복건성 장주시 동산에 위치한 銅陵關帝廟는 중국 4대 관제묘 중 하나로 꼽힌다. 동산은 중원으로부터 한참 떨어진 곳이며, 관우 생전 그 어떤 접점도 없었다. 하지만 이곳은 중원문화, 민남문화, 해양문화가 서로 융합하여 다채롭고 독특한 새로운 관우문화를 자랑한다. 본고는 福建省 漳州 東山에 관우문화가 유입되고 정착되는 과정 및 그 특징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관우문화의 다양성을 도출하고 중국 동남 연해지역의 문화를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Dongshan is a locale where Central Plains culture, Minnan culture, and maritime culture converge, giving rise to a distinctive and diverse Guan Yu culture. In his lifetime, Guan Yu had no association with Dongshan or the Minnan region, and no maritime-related stories are attributed to him. Nevertheless, in Dongshan, situated on the southeast coast, a Guan Yu worship culture akin to that in other regions prevails. Despite potential differences in scale, every household features an altar dedicated to a Guan Yu statue. During significant occasions such as the Spring Festival, Guan Yu's birthday, or his day of ascension, Dongshan residents frequent temples to conduct memorial services, seeking peace and prosperity for their families. Guan Yu has historically been a revered figure for Dongshan residents, with a well-established cultural history. Despite the absence of personal connections between Guan Yu and Dongshan during his lifetime, the establishment of the Guan Yu faith in this region prompts questions about its origin. Additionally, how has the Dongshan Guan Yu worship culture persevered to the present day? This study seeks to scrutinize the history a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Dongshan Guan Yu culture and analyze its implications. By doing so, it aims to serve as a foundational exploration into the diverse facets of Guan Yu culture and contribute to the comprehens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the southeastern coastal region of China.
    • 제 목
      해역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새로운 세계화의 모색-동북아해역도시의 변화를 중심으로
    • 저자
      서광덕
    • 발행처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 발행년
      2023, vol., no.66, pp. 331-352 (22 pages)
    In the 21st century, some argue for deglobalizationfrom a negative perspective on globalization, while others argue that it is re-globalization and that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globalization need to be adjusted. As a way to create thinking for new globalization from the latter point of view, this article reviewed the changes and search for sea cities in the region toward globalization in the late 20th century, targeting East Asia and the space of the sea.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this region is that the key to the way and content of globalization, which will change in the future, is to realize symbiosis (coexistence) globally.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regionalism in East Asia and the network of the people of the sea for the resilience of nature were considered important as an experimental site. As such an example, we looked at the promotion of globalization of Hong Kong and Busan by paying attention to mobility (construction of a new airport), the marine environment, and the residents of the sea. In particular, the construction of a new airport in Busan, the hosting of the expo, and the initiative of the Busan Metropolitan City are all things in the future. Therefore, we pointed out that Busan's change requires efforts to form a maritime network and maritime governance from below that promotes deglobalization, deindustrialization, global solidarity for blue economy,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resilience of the sea, while considering the issues of re-globalization, eco-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This will serve as a yardstick to gauge whether East Asia and the sea region, which world-class scholars pay attention to, can have a status as a subject and center of concern for the future of the world.
    • 제 목
      해양문화관광콘텐츠를 활용한 동북아 어촌 활성화 사례 고찰-부산,후쿠오카,청도를 중심으로
    • 저자
      주현희/주현희
    • 발행처
      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발행년
      2023, vol., no.62, pp. 337-376 (40 pages)
    본 연구에서는 해양문화 관광콘텐츠를 개발하여 지역을 활성화한 한ㆍ중ㆍ일 어촌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어촌은 전통적으로 어업을 통해 생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해양 생태계 악화로 인한 어족자원 고갈, 탈어촌(脫漁村) 현상 등으로 인해 소득 기반이 약화되면서 새로운 산업구조가 형성되었다. 즉, 어촌 지역에서 오랜 기간 형성된 고유한 문화를 관광 콘텐츠로 활용하는 것이다. 어촌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관광 콘텐츠화의 핵심은 ‘해양문화’로서 특히 어촌의 근간을 이루는 전통어업, 어촌의 역사와 관련된 콘텐츠들이 전시, 축제, 체험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이들 사례에 대한 고찰을 통해 두 가지 측면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우선 어촌의 전통 어업, 역사 등의 해양문화 콘텐츠 개발을 통해 사라져가는 전통 어업과 해양문화를 현대적 방식으로 보존, 전파,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어촌과 지역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어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화하는 어촌 지역의 문화적 특색을 관광콘텐츠화하여 현대적으로 재해석, 보존하는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ses of fishing villages in Korea, Japan, and China that have activated local tourism by developing marine cultural contents. Fishing villages have traditionally lived by fishing. However, a new industrial structure was formed as the income base weakened due to the depletion of fish stocks and the decrease in fishermen. They use their own culture as tourism content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traditional fishing of fishing villages and the history of fishing villages ar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exhibitions, festivals, and experiences. The meaning of two can be found through this case study. First of all, it is preserving and inheriting the disappearing traditional fishing and marine culture in a modern way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rine cultural contents such as traditional fishing and history of fishing villages. And The fishing villages and regional identities are solidifying and strengthening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fishermen. Through this study We knew the culture of fishing villages could be converted into tourism contents and used for modern reinterpretation and preservation.
    • 제 목
      일본 문해 교육 기관의 상호문화 감수성 교육 사례 분석 연구
    • 저자
      주현희
    • 발행처
      한국문화교육학회
    • 발행년
      2024, vol.18, no.6, pp. 239-268 (30 pages)
    본 연구에서는 일본 후쿠오카시에 소재한 문해 교육 기관인 요미카키교실(読み書き教室)의 상호문화 감수성(Intercultural Sensitivity) 교육의 실제 사례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 사례를 통해 일본 사회에서 생활하고 있는 다문화 구성원들의 삶과 문화 적응 양상을 고찰하였다. 교육 사례 수집을 위해 구성원 및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개별 인터뷰를 세 차례 진행하였다. 그리고 요미카키교실(読み書き教室)에서 간행된 문헌 자료 및 구성원들이 제작한 문집, 학교 커리큘럼, 활동지 등을 분석하여 상호문화 감수성 교육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요미카키교실(読み書き教室)은 1997년 개교 당시 구성원이 대부분 재일한인이었다. 2000년대 이후 일본이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면서 구성원도 중국인, 필리핀인, 네팔인, 일본계 브라질인, 일본계 페루인 등으로 다양해졌다. 따라서 이 기관에서는 다문화 구성원의 문해(文解) 교육뿐만 아니라 일본 문화 적응을 위한 상호문화 감수성(Intercultural Sensitivity) 교육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요미카키교실(読み書き教室)에서 실시한 교육이 다문화 구성원들을 일본 사회에 문화적으로 흡수, 통합하기 위한 교육이 아니라 이들과 상호작용하며 이들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성원들을 ‘외국인’이 아닌 지역에서 공생하는 ‘외국인 주민’으로서 인식하고 있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ctual case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at the Yomikaki-Institute, a literacy education institution based in Fukuoka, Japa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Yomikaki-Institute has been operated mainly by private and local residents for 26 years since its opening in 1997. Most of the members of the Yomikaki-Institute were Koreans in Japan at the time of its opening. As Japan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after the 2000s, its members diversified into Chinese, Filipino, Nepalese, Japanese Brazilians, and Japanese Peruvians. In addition to literacy education for multicultural members to adapt to Japanese society, this institution has provided inter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for adaptation to Japanese culture.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 conducted in the Yomikaki-Institute was not aimed at culturally absorbing and integrating multicultural members into Japanese society, but rather at interacting with them and solidifying their identity. It could be seen that the members were recognized as 'foreign residents' who lived in symbiosis in the region, not as 'foreigners'.
    • 제 목
      한.일 한국어 평가 도구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 연구
    • 저자
      주현희 우에다 아스카
    • 발행처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 발행년
      2023, vol.45, pp. 175-207 (33 pages)
    본 연구에서는 한·일 한국어 평가 도구, 한국어능력시험(TOPIK), 한글능력검정시험, 일본 대학입학공통시험의 한국어 시험의 읽기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 항목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최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의 증가가 한국어 평가 도구의 문화 항목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읽기 텍스트에서는 최근 한국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회 문제를 규제하기 위한 법과 제도들을 다루고 있었다. 1인 가구의 증가와 'MZ세대, 1코노미'와 같은 새로운 세대의 등장으로 한국 사회에 새로운 문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현대 한국 사회와 문화를 반영한 읽기 텍스트가 많았다. 그리고 한국 문화 형성의 주체로서의 한국인들을 다루고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한국어 평가 도구의 읽기 텍스트 문화 항목 구성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문화 항목의 폭 또한 넓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ultural Items appeared in the reading texts of the Korean language test of the Korea-Japan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s,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OPIK), the Hangeul Language Proficiency Test, and the Japanese University Entrance 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we also looked at how the recent increase in interest in Korean culture affected the composition of cultural items in the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reading text deals with the Cultural Items of laws and institutions to regulate recent social problems. And with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emergence of new generations such as the "MZ Generation, 1 Economy," new cultural phenomena are occurring in Korean society. There were many reading texts reflecting the changing modern Korean society and modern Korean culture, and it was also found that it deals with Koreans who emerged as subjects of society and culture. It is supposed that the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culture through this study has had some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topic of reading text in the Korean language Assessment tools. And Cultural Items have been broadened in the reading text.
    • 제 목
      간사이국제공항과 배후지 건설 전후에 따른 어업실태 조사: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앞두고
    • 저자
      공미희
    • 발행처
      한국아시아학회
    • 발행년
      2023, vol.26, no.4, pp. 121-144 (24 pages)
    본 논문은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앞두고 신공항 부지인 대항동에서의 전통어로인 육수장망(陸水張網)을 이용한 숭어들이 어로법이 사라지고 또한 어업을 해오던 어민들이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가? 라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했다. 가덕도신공항건설을 하면서도 어민이 같이 살아갈 수 있는 방법모색의 하나로 공생을 제언했으며, 이와 같은 방안의 하나로서 지속가능발전노력에 바탕을 두고 건설한 간사이국제공항에 대한 선례를 고찰했다. 즉, 먼저 간사이국제공항 건설배경 및 특징에 대해서 고찰함으로써 공항이 건설된 이후에도 건설 전과 비교해서 어획량에 대폭의 차이점이 없는 이유를 밝혔다. 다음으로 간사이국제공항과 배후지 건설 전후 실제 바다에서 고기잡이를 생계로 해오던 주위 주민들의 어업실태에 대해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는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앞두고 예정부지 및 그 배후지역에 살고 있는 어민들이 소멸하지 않고 신공항건설과 함께 공생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검토를 해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관련자료 및 사료를 참조하여 위의 사안들을 고찰했고 특히 간사이국제공항 주변 어촌지역에서 어로행위 및 어업협동조합 조합원인 어민들의 인터뷰를 통한 개별사례를 문서와 비교하면서 객관적이면서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간사이국제공항에 관한 국외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지만, 국내에서는 거의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으므로 선행연구의 단서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특히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앞두고 공항과 어민이 함께 공생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속 발전하는 간사이국제공항을 사례로서 분석한 것은 학술적으로도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Ahead of the construction of Gadeokdo New Airpor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sappearance of mullet fishing methods using land-based long nets,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in Daehang-dong, the site of the new airport, and what kind of life will the fishermen who used to fish live in the future? It started with an awareness of the problem. Coexistence was suggested as a way for fishermen to live together while constructing Gadeokdo New Airport, and as one of these measures, the precedent of Kansai International Airport, which was built based on sustainable development efforts, was considered. In other words, by first examining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of Kansai International Airport, the reason wh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ish caught after the airport was built compared to before construction was revealed. Next, we analyzed the fishing conditions of the surrounding residents who made a living by fishing in the actual sea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Kansai International Airport and its hinterland. Lastly, ahead of the construction of Gadeokdo New Airport, we reviewed ways to ensure that the fishermen living in the planned site and its hinterland do not disappear but can coexist with the new airport construction. As a research method, the above issues were first considered with reference to related data and historical records, and in particular, individual cases were compared with documents through interviews with fishermen who were members of fishing cooperatives and fishermen in the fishing village area around Kansai International Airport, and the study was conducted objectively and empirically. analyzed. Although many oversea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Kansai International Airport,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domestically, so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serve as a clue for prior research.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Kansai International Airport as a case study, which is continuously developing as a way for airports and fishermen to coexist ahead of the construction of Gadeokdo New Airport, can be considered academically significant.
    • 제 목
      新한류 속 언어차용과 문화교류-중국 팬덤용어 번역사례 분석과 고찰
    • 저자
      엄지
    • 발행처
      한국문화융합학회
    • 발행년
      2023, vol.45, no.11, 통권 111호 pp. 849-858 (10 pages)
    본고의 목적은 新한류 속 팬덤용어의 중국어 번역사례를 분석하여 변화하는 언어·문화접촉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최근 新한류 열풍을 타고 팬덤용어와 표현을 중심으로 한자어의 영향에서 벗어나 새로운언어접촉과 번역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이전까지 젊은 층 사이에서 일시적인 유행에 지나지 않았던 단편적인 한국어 표현들이 이제는 수년간 계속 사용되는 것을 넘어 파생 표현과 정형화된 번역 패턴을보이는 고유 표현으로까지 정착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자문화권 형성에 강력한 영향력을행사했던 중국어를 우선하여 번역사례를 분석하고 몇 가지 의미 있는 특징을 도출해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新한류 속 글로벌팬덤의 형성과 함께 그 안에서 사용되는 팬덤용어를 중심으로 진행된 새로운 언어접촉 양상이 그동안의 아시아적 문화 경계를 허물고 세계화의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hanging aspects of language and cultural contact, focusing on the case of Chinese translation of fandom terminology in the new Korean Wave. Following the craze of the new Korean Wave, new cases of language contact and translation are emerging, focusing on fandom terminology and expressions. Fragmentary Korean expressions, which used to be nothing more than a temporary trend among young people, have now been used for years. Furthermore, it is becoming established as a unique expression showing derivative expressions and formalized translation patterns. This paper first analyzed the translation cases of Chinese, which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al sphere, and as a result, several meaningful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ased on thi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formation of global fandom and the new language contact pattern centered on fandom terms have broken down Asian cultural boundaries and acted as an important medium for global
    • 제 목
      일제식민지기 멸치 수산업과 남해안 지족해협 죽방렴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 저자
      문혜진 /Mun HeaJin
    • 발행처
      무형유산학회
    • 발행년
      2023, vol.8, no.2, pp. 35-62 (28 pages)
    남해군 지족해협에는 명승(제71호), 국가무형문화재 138-1호, 국가중요어업유산 제3호로 지정된 죽방렴 23개가 멸치잡이를 하고 있다. 남해안 죽방렴은 V자형으로 참나무와 대나무를 박고 주렴처럼 엮어서 그물을 설치하여, 조수의 간만 차를 이용하여 꼭짓점 원통 속에 갇힌 멸치를 잡는 전통 함정어구이다. 남해군 죽방렴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어구로서 최근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신청에 앞서 죽방렴의 원형에 대한 고증을 다시 하고 있다. 기존의 학계에서는 남해군 죽방렴 멸치잡이의 역사를 남해군 방렴[어량]의 역사로 오인하여 400~500년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죽방렴과 멸치잡이의 역사를 분리하여 실증적으로 재검토하고자 한다. 방렴은 구한말까지 대구와 청어를 잡는 어구였지만, 학계와 남해군 죽방렴 운영자들은 전통적으로 멸치잡이 어구로 보고 있다. 그러나 남해군 죽방렴에서 멸치잡이를 전문적으로 한다는 사료는 『물고기의 길잡이』(1938)에 최초로 나타난다. 조선시대 멸치는 수산물로서의 가치가 낮았지만 개항 이후 어비[호시카]에 대한 일본 수출 수요가 증가하면서 남해군 죽방렴에서도 1913년부터 멸치를 주요 어종으로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남해안 지족해협 죽방렴의 멸치잡이가 멸치 수산업의 성장과 함께 일제식민지기에 시작되었다는 가설 하에,『조선총독부통계연보』·『조선총독부관보』, 그 외 일제식민지기 수산 관련 사료·신문 등을 통해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In the Jijok Strait of Namhae-gun, 23 bamboo fishing weirs designated as scenic spots(No. 71),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38-1, and National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No. 3 are catching anchovies. A bamboo fishing weir in Namhae-gun is a traditional trap, which is constructed by inserting oak and bamboo in a V-shape and weaving it like a net; it is designed to catch anchovies, using the tidal difference. Preservation society for Bamboo fishing weirs and scholars have recently been verifying its prototype before applying for registration as a world-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Previous researches estimate that the history of catching anchovies using bamboo fishing weirs in Namhae-gun is 400 to 500 years old; it results from misunderstanding the history of bamboo fishing weirs in Namhae-gun as that of anchovy fishing.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eparate the history of bamboo fishing weir and anchovy fishing in Namhae-gun and then study it empirically. Bamboo fishing weir was a fishing gear for catching cod and herring until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Joseon Dynasty, anchovies were of low value as a marine product, but as the demand for export to Japan increased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fishermen in Namhae-gun began to catch anchovies mainly from 1913. Accordingly, under the hypothesis that anchovy fishing of bamboo fishing weirs in Namhae-gun began with the growth of the anchovy fisheries indust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will clarify it using the statistical yearbook and official Gazette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other materials such as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Japanese colonial fisheries, newspapers and so on.
    • 제 목
      연근해어업에서의 이주노동자 수용제도의 한일 비교: 장기 고용으로의 변화에 주목하여
    • 저자
      최민경
    • 발행처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다문화콘텐츠연구
    • 발행년
      2023, vol., no.45, pp. 295-325 (31 pages)
    본 연구에서는 인구 및 산업 구조의 급격한 변화 속, 한국과 일본의 연근해어업 분야에서 이주노동자의 수용 제도가 그들의 장기 고용이 가능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그러한 변화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과논리를 통해 이뤄지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은 연근해어업으로유입하는 이주노동자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늘리면서 그 중 ‘성실함’을 증명받는 자에게 장기 고용과 체류의 가능성을 열었다. 한편 ‘숙련됨’에 대한평가는 기본적으로 ‘성실함’과 짝을 이루며, 별도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반면에 일본은 이주노동자의 장기 고용을 위해 기능 자체의 재정의가 이뤄졌다. 연근해어업을 ‘특정산업분야’로서 고유의 ‘상당한 정도의’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전문적・기술적 분야로 간주하는 방식이다. 아이러니컬한 것은이러한 자리매김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유입하는 이주노동자의 경우 그 기능 수준이 결코 높지 않다는 점이다. 이처럼 최근 한일 양국의 연근해어업에서 이주노동자 관련 제도가 변화하는 양상은 다양한 차원에서 제도 자체의 모순됨을 내포한다. 그리고 한일 양국의 비교 분석은 서로가 지니는 모순됨을 비춰보고 향후 정책적 함의를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제 목
      수산업을 통한 지역사회의 연대활동과 글로벌 수산식품 유통 네트워크: 구룡포를 중심으로
    • 저자
      공미희
    • 발행처
      지역사회학회/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KRS)
    • 발행년
      2023, vol.24, no.2, 통권 55호 pp. 67-102 (36 pages)
    본고는 구룡포 수산업의 역사적 배경 및 특징에 대해서 고찰하고, 구룡포수산업협동조합 주최의 풍어제와 포항구룡포과 메기사업협동조합 주최의 과메기축제를 중심으로 수산업을 통한 지역사회의 시민연대활동에 대해서 분석했다. 그리고 구룡포 대표적 수산식품의 글로벌 유통 네트워크에 대해서 먼저 신문기사를 통해서 고찰했고 한층 현지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구룡포 국외수출업체의 인터뷰로서 과메기 유통네트워크에 대해서 분석했다. 구룡포수산업은 청동기유적 어망추(그물추) 유물출토로 청동기시대부터 거슬려 올라갈 수 있고 특히 구룡포과메기 수산식품의 어종인 청어는 조선시대 초기부터 가장 중요한 어류자원의 하나였다. 개항이후 일본인들이 한반도지역으로 많은 이주를 했고, 일본인의 이주어촌형성과 이주민정착이 시작되면서 구룡포는 빠르게 변화했다. 해안에 연한 간선도로를 따라 길게 확장되었던 이주민들의 주거단지에는 중요한 기관설비가 갖추어지면서 공동작업장과 어판장, 수산물운반업소, 조선소, 통조림공장, 선구점, 어구점, 창고 등 각종시설들이 자리를 잡았다. 구룡포의 대표적인 어종은 일본인이 통어를 하던 초기에는 삼치와 청어, 정어리가 주를 이루었다. 그런데 청어는 1950년대 이후부터 거의 잡히지 않았고, 중반에 이미 청어를 대신하여 꽁치로 과메기를 만들고 있었다. 꽁치는 1960년대 초에서 1980년대까지 동해안의 대표적인 어종으로 꼽힐 만큼 많이 어획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어민들은 어로 시에는 풍랑으로 인한 인명피해, 자연재해 등에 대해서 항상 불안한 마음을 가졌다. 이에 선주협회에서는 어업인들의 안전조업 및 대풍어를 기원해 소득증대를 바라는 어민들의 바람이 실시되기를 기원한다는 의미에서 구룡포 풍어제를 개최하였다. 그런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선주협회는 풍어제에 소요되는 경비문제로 난황에 부딪혀 수협에 부탁을 했고 이에 구룡포수협이 2005년부터 4년에 한 번씩 풍어제를 개최한다. 비록 수협주최로 풍어제가 실시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진행과정을 보면 수협과 시민들과의 연대활동을 비롯해서 시민들 간의 연대활동도 다양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구룡포 과메기축제를 통해서도 과메기사업협동조합, 상인, 시민들과의 연대활동이 지속적으로 행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글로벌수산식품의 유통 네트워크에 관한 분석으로서는 먼저 신문기사 보도 자료로서 특징을 고찰했고 좀 더 현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구룡포 국외수출업체의 인터뷰를 실시했다. 그 결과 과메기 수출은 북미나 유럽, 그리고 동남아 등의 지역이 해당되었고, 또 국외수출이 국내 판매보다는 절차부터 시작해서 해외에서의 시식회 및 홍보방법, 다양한 국가로의 유통네트워크 확장, 고객관리, 경제적 비용, 소극적인 정부지원 등 여러 면에서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 현재의 실태였다. 이에 포항시를 비롯한 구룡포에서는 수산식품 유통의 지속 가능성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개선이 이루어져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글로벌 수산식품 유통 네트워크를 확장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Copyrights (C) 2018 동북아해역과 인문네트워크의 역동성 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