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
차세대육성대학원생포럼_프로그램_한글.pdf (106.5K) 22회 다운로드 DATE : 2018-09-18 15:42:23
본문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제1회 차세대육성대학원생 포럼『근대 동북아해역 인문네트워크의 근대적 계기와 기반』
· 일시: 2018년 9월 14일(금) ~ 9월 15일(토)
· 장소: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경영관(C25) 2층 CORE라운지
· 주최: 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 후원: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 2018. 09. 14.(금) >>
등 록 (09:00~09:40)
환영사 (09:40~10:00) 손동주(부경대학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 단장)
제1세션: 동북아해역의 인적 · 물적 이동 (10:00~12:30) ∥ 사회: 윤지양(HK연구교수)
· 陈辰立(厦门大学): 물고기의 유동에서 사람의 유동까지: 푸젠, 저장 인구 유동의 해양 동력
▷ 토론자: 李玉铭(上海师范大学)
· 이지연(부경대학교): 에도시대 중국 상선의 일본 표류와 송환: 1807년 닝보선[寧波船]의 조시포[銚子浦] 표류사건을 중심으로
▷ 토론자: 신소연(제주대학교)
· 李玉铭(上海师范大学): 클리퍼 시대: 상하이 개항 초기의 원양무역 형태와 구조-원양운수방식을 중심으로
▷ 토론자: 陈辰立(厦门大学)
· 신소연(제주대학교): 1920~30년대 재일제주인 金文準의 활동 연구
▷ 토론자: 이지연(부경대학교)
· 徐文玉(中国海洋大学): 어민과 해양: 동아시아 평화 해양공간과 해양 조화 사회의 건설
▷ 토론자: 张倩雅(上海交通大学)
제2세션: 동북아해역 문화네트워크와 문화교류 (13:30~15:30) ∥ 사회: 최민경(HK연구교수)
· 朱雄(中国海洋大学): “인류운명공동체” 시야 하의 동북아 해양 인문네트워크 교류의 계기
▷ 토론자: 장웨이(부경대학교)
· 장웨이(부경대학교): 해상실크로드를 향한 <운남영상雲南映象>의 문화전파
▷ 토론자: 朱雄(中国海洋大学)
· 张倩雅(上海交通大学): “혀 위의 동북아” - 근대 동북아 식문화 교류의 역사와 시사
▷ 토론자: 徐文玉(中国海洋大学)
· 장민영(부경대학교): 일본어 성경에 나타난 漢字語와 和語의 사용 양상 - 신약성경을 중심으로
▷ 토론자: 孫欲容(台灣大學)
제3세션: 동북아해역의 지식네트워크와 지식교류 (16:00~18:30) ∥ 사회: 서광덕(HK연구교수)
· 孫欲容(台灣大學): 명청 시기 류큐 지식의 구축과 전파
▷ 토론자: 장민영(부경대학교)
· 黃芯恩(中國文化大學): 홍대용 『담헌연기』에 나타난 글쓰기 특징과 대청인식
▷ 토론자: 吳政緯(台灣大學)
· 吳政緯(台灣大學): 대만 명청사 연구자들의 ‘조선’ 인식
▷ 토론자: 黃芯恩(中國文化大學)
· 손자영(부경대학교): 서가회(徐家匯) 토산만인서관(土山灣印書館)과 근대 상해 인쇄출판문화의 흥기
▷ 토론자: 张政君(上海社會科學院)
· 张政君(上海社會科學院): 근대 해역 네트워크 하 한중 문인의 문화 교류—김택영을 사례로
▷ 토론자: 손자영(부경대학교)
<< 2018. 09. 15.(토) >>
대학원생 라운드테이블 (10:00~12:00)
사회: 권경선(HK연구교수)